심리학이 제갈량에게 말하다 1 - 탁월한 전략으로 승리를 추구하다 현대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 인물 열전
천위안 지음, 정주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갈량은 삼국지연의를 읽어보지 않은 사람도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제갈량은 삼국지의 대표적인 군사/문관으로 자는 공명이다. 그래서 제갈공명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아마 삼국지연의의 인물들 중에 자가 가장 많이 알려진 사람일 것이다. (‘유현덕이나 관운장이나 조맹덕이라고 하는 사람은 별로 없으니..)


제갈량은 중국 후한 말에 태어나 형주에서 유비를 만나 그를 따르기 시작하면서 전면에 등장한다. 그전까지는 스승인 수경선생 사마휘를 통해 이름이 조금 알려진 똑똑한 사람쯤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삼고초려를 통해 유비의 휘하에 들어가게 되고, 그 유명한 적벽대전을 뒤에서 만들어내고 유비 사후 북벌을 꿈꾸었지만 끝내 이루지 못하고 오장원에서 사망하게 된다.


워낙 똑똑한 사람으로 유명한 탓에 제갈량이라는 이름이 주는 느낌은 똑똑하다 못해 완벽에 가까운 이미지이다. 읍참마속으로 유명한 일화 때문에 냉정해 보이기까지 했을 것이다. 하지만 죽은 주군인 유비의 뜻을 이루기 위해 성공확률이 낮은 북벌을 감행한 것을 보면 의리도 넘치고 충성심이 많았으리라 생각된다.


이 책의 저자인 지난 시리즈인 심리학이 조조에게 말하다에 이어 두 번째로 제갈량을 택했다. 제갈량은 마땅한 기반 없이 떠돌던 유비를 촉한의 황제로 만드는 과정에서 본인의 모든 것을 보여주며 본인이 지혜의 화신임을 증명해 냈다. 그리고 칠종칠금으로 유명한 남벌을 통해 남만의 맹획을 결국은 굴복시키면서 강한 리더십도 보여주게 된다. 아마 이러한 부분들이 저자의 마음을 뺏어서 지난 시리즈에 이어 두 번째로 제갈량을 택하게 된 것은 아닌지 생각이 든다.


저자는 제갈량의 기발한 기책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서술하며 결국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제갈량이 보여준 보편적인 인생의 지혜와 처세를 깨닫기를 원하고 있다. 지난 시리즈도 재미있게 읽었다면 이번 심리학이 제갈량에게 말하다도 한번 읽어보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