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시대의 변화를 말하는 책이거나, 자기개발서의 일종으로 생각했었다. 그런데 한 장 한 장, 책장을 넘길 때마다 참으로 기가 막히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다. 재미도 있고 느낌도 있는 책을 정말 오랜만에 만났다.

 

속한 직장에서 계속되는 변화의 요구를 받으며, 변화에 예민하고 준비하고 반응하는 사람들, 너무나 힘겨워하며 뒷걸음치는 사람들, 그러려니 하고 본인과는 관계없다며 시큰둥한 사람들… 참으로 많은 종류의 사람들을 보게 되었다. 어떻게 하면 잘 변화할 수 있을까를 개인적으로도 참 많이 고민했었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어떻게 어우러져 변화를 맞이해야 하는지 나름 깊게 생각했다 믿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며 새로운 시각이 열리게 되었다.



변화는 무엇인가. 내가 변화를 통해 얻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매우 깊고 진지하게 고민해 볼 수 있었다. 어느 조직에서건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대부분은 본인이 보다 편안하기 위해서- 타인의 변화를 그리고 속한 집단의 변화를 추구한다. 때로 바램을 이루기도 하고 때로 타인의 바램대로 변화하기도 하고 또 때로는 그러한 과정을 거부하다가 조직을 나서기도 한다. 이 책은 그런 조직의 변화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사실 뭔가 해답을 기대하기도 했었지만) 이 책은 변화를 보다 유연히 받아들이고 변화에 대해 반응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것이 참으로 매력적이다. 특히 로베르 뱅상 줄의 실험은 참으로 흥미로웠고 그 외에도 다양한 예문과 사례들을 통해 변화에 대처하고 변화를 이끌어가는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놓은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재미나게 읽었던 파트는 경영자, 딜레마와의 싸움(203p)이었다. 양가적 입장을 모두 충분히 고려하여 ‘중용’을 이루는 리더가 과연 존재할까? 그런 리더가 있는 조직이라면 발전적인 변화를 효율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을까? 마치 철인정치가 이 시대의 대안이라 말하는 사람의 상상을 공유한 듯한 기분이다.

 

다시 말하지만, 이 책은 그다지 해답을 주지 못했다. 오히려 머릿속에 엄청난 양의 물음표를 그려두었다. 그러나 그러한 물음표들이 오히려 내가 진일보했다는 증명이라는 생각에 책을 다 읽은 지금 왠지 뿌듯하고 보다 나은 변화를 주도해가는 사람이 될 수 있을 듯한 자신감을 가져본다.

 

변화의 시대속에 사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