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토리버스 융합사회 10 : 올림픽 - 학교 공부 꽉 잡는 공부툰, 소년 한국 좋은 어린이 책 ㅣ 스토리버스 융합사회 10
김현민 지음, 엄우섭 감수 / 스토리버스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8가지 스토리버스를 타고 초등교과연계학습을 떠나요
이번여행은 융합사회 10편의 올림픽학습입니다.
올림픽하면
올림픽경기 / 동계올림픽 / 육상 / 수영 /
겨누기 / 겨루기 / 체조 / 올림픽과 과학
연상이 되는 분류이죠!!!
초등사회, 초등교과연계로 많이 접하는 내용들입니다.
주제에 맞는 내용의 인트로를 이렇게 보여주니
어떤 내용이 전개될지 생각이됩니다.
교과연계 학년, 단원까지 - 교과서에 대한 관심도 함께 가죠..
교과연계학습만화, 초등학교교과서가 자연스레 연결됩니다.
올림픽경기는 기원전 776년
그리스의 도시국가 올림피아에서 처음으로 열리죠.
그리스 최고신 제우스에게 바치는 제전경기로서 열었답니다.
처음엔 달리기 하나뿐이었는데
레슬링, 창던지기, 원반던지기, 멀리뛰기 등이 생기면서 고대5종 경기가 되었답니다.
일반 올림픽경기가 끝나고 나면
장애인 선수가 참가하는 패럴림픽이 열립니다.
팰럴림픽은 하반신마비를 뜻하는 '패러플리지아'와 올림픽의 합성어입니다.
오늘날에는 '나란히'를 뜻하는 그리스어의 전치사에서 유래된
'패러(para)와 올림픽과 합성해서
'올림픽과 나란히 열린다' 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미스터 펭돌과 함께 동계 올림픽 경기를 만나는데
스키 점프의 자세가 잘 나와있네요.
도약, 공중, 착지, 주행 등의 자세가 중요하다고 해요
스케이트 날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해요
스피드 스케이트, 쇼트 트랙 스피드 스케이트, 피겨 스케이팅 스케이트,
아이스하키 스케이트까지 경기마다 필요로 하는 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스케이트 날도 틀리답니다.
육상중에는 중력의 힘을 거슬러 날개없이
멀리, 높이 나는 경기가 진행되죠.
육상의 도약 경기 - 장대높이뛰기, 멀리뛰기, 높이뛰기 등
울 둘째가 이번 학교 운동회때 자기는 높이뛰기를 신청했다고 하는데
중력을 얼마나 거슬르는지 궁금하네요.
물속으로 뛰어드는 다이빙도 여러 자세가 있답니다.
다이빙자세의 종목 6가지
앞으로 서서 뒤로 뛰기/ 뒤로 서서 앞으로 뛰기 / 비틀어 뛰기
뒤로 뛰기 / 앞으로 뛰기 / 물구나무서서뛰기
총을 쏘아서 맞히는 사격 경기는
라이플 종목과 클레이 종목으로 나뉘는데
경기에 사용하는 총의 안쪽에 강선이 있는지, 표적이 움직이는지 등에 따라 구분되네요.
운동선수들은 더 나은 기록을 위해서
자신의 종목에 맞게 몸을 만들어요.
요즘 스포츠선수들보면
데이타를 보고 타선수의 기록, 나의 기록을 보면서 비교하고
집중을 높이는 선수들의 심리상태를 연구하고
종목에 따라 운동선수들이 사용하는 근육과 체형도 연구등으로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한계를 극복하며 신기록에 도전하는
단서를 제공해줍니다.
이처럼 운동이, 스포츠가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과학의 발전과 함께 융합돼고
올림픽경기와 축제는 전세계의 행사가 되어갑니다..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융합사회의 연관성을 풀어내는 스토리버스
초등학교교과서, 초등사회를 융합적으로 사고하도록 이끌어내는 스토리버스는
초등교과연계학습에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답니다.
초등사회를 융합적으로 생각하고 만나는
스토리버스 융합사회10 - 올림픽편이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