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과 무생물 사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췌장세포의 단백질 전달 방법에 대한 저자의 연구중 세포내 소포막 표면에서 생성된 단백질이 소포막 내부로 들어가는데 세포내의 소포막내는 결국 세포밖으로 연결된다는 설명이 흥미있었다.

언젠가 도올이 강의중 설명한 인체 내부의 입-식도-장기-항문으로 이어지는 관이 결국은 인체 외부라고 한 내용이 연관되어 떠올랐다.

그리고 쇤하이머의 실험을 설명하면서 저자가 주장하는 동적평형 이론은 여러가지 생각들을 많이 하게 만들었다.

모든 물질은 엔트로피 증가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그것의 억제가 곧 질서를 부여하는 일이고 인간의(생명채의) 몸에 지속적으로 질서를 부여하는 방법은 이미 질서를 구축한 다른 유기체를 섭취하고 그것을 아주 잘게 분해하여 인간의 몸에 맞는 새로운 단백질을 다시 재조합하는 것이다.

인간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은 이런식으로 지속적으로 새롭게 교체되어 간다.

변화와 교체만이 항속성을 보장한다. 몇년전의 나와 지금의 나는 그 구성물 차원에서 본다면 완전 다른 사람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나의 실체는 무엇인가? DNA 와 각종 정보들이 나의 실체인가?

변해가는 흐름 자체가 생명체이고 바로 우리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 흐름이 중단되는 날 , 엔트로피의 증가를 더 이상 억제할 수 없게 되는 날

우리가 우리라고 부르는 그 무엇인가는 소멸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