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에서 빛이 날 때가 있다. 그 빛은 읽는 이의 눈을 지나 가슴에 뜨겁게 화인을 남긴다. 하지만 그런 문장을 쓰기란, 아니, 만나는 것조차  쉽지 않다."

 

어느 글에선가 만났던 글귀이다. 2000년 봄, 처음 하이쿠 시집 <한 줄도 너무 길다>를 만나고 시문학에 완전히 문외한인 내가 아이들에게 시를 가르쳤던 적이 있다. 단지 한 시간 가량 시를 읽어주고 그 시가 보여준 풍경들을 그려봤을 뿐인데도 아이들은 아주 쉽게 시를 이해하였고 나로서는 쓸 수 없었던 시들을 써 보여주었다. 굉장히 즐거워하며.

 

그렇게 처음 하이쿠를 만났던 그때로부터 14년의 시간이 지나 다시 만나게 된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 한 줄의 시만으로도 충분히 좋을 수 있는 시들이지만, 시어 들에 담긴 사연과 풍경을 담아낸 류시화 시인의 해설은, 고요 속에 던져진 시어들이 파문을 일으키며 만들어내는 무늬들처럼 그 깊이를 더욱 선명하게 해준다.  한 줄의 시가 주는 울림을 넘어,  한 편, 한 편의 시에 담긴 따뜻한 시선이 묵직한 책의 무게만큼이나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이름 몰라도 /모든 풀마다 /꽃들 애틋하여라  - 산푸

 

지고 난 후에 /눈앞에 떠오르는 /모란꽃 - 부손

 

부재와 종말은 어떤 것의 존재를 더 절실하게 만든다. 사라진 뒤에 더 선명하게 떠오르는 것은 단지 꽃만이 아니라고 시인은 말한다.

 

이상하다 /꽃그늘 아래 이렇게 /살아있다는 것 - 잇사

 

오늘이라는 /바로 이날 이 꽃의 /따스함이여 - 이젠

 

이 순간을 만날 수 있다는 것, 그것을 시로 만날 수 있다는 것은 애뜻한 경험이다. 시선은 사물에 흔적을 남긴다고 말한 러시아 시인 브로드스키, 그리고 사물은 우리의 혼에 흔적을 남긴다고 말하는 류시화 시인의 글처럼, 살아있다는 것은 한 편의 시를 만나는 것이다. 그것이 시의 모습을 하고 있던 그렇지 않던.

 

누군가를 안다는 것은 그의 가슴 안에 있는 시를 읽는 것.

 

이 글귀처럼 한 존재의 가슴 안에 있는 시를 읽는 자는 결코 그를 비난하지 못하리라. 그 시가 주는 울림이 얼마나 깊고 또 아픈지를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므로. 시는 겉으로 보여지는 존재의 속 깊은 곳을 공명하는 작은 울림이다.

 

전부를 잃어버린 /손과 손이 /살아서 맞잡는다 - 세이 센스이

 

지금 이 순간, 살아서,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와 같은 책을 만날 수 있어 기쁘다. 그동안 류시화 시인의 시와 번역서를 즐겨 읽던 독자로서 오랜 시간 변함없이 생에 대한 통찰과 인간과 삶에 대한 애뜻한 시선을 담은 시인의 책들을 서재의 한 켠에 둘 수 있음에 감사한다.

 

 

 

첫 만남은 예기치 않게 시작된다. 어느 날 하이쿠가 당신의 눈에 띌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서서히 당신의 마음과 혼에 스며들기 시작할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있다는 것은

한 줄의 시를 읽는다는 것

어찌되었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 - 류시화의 하이쿠 읽기
류시화 지음 / 연금술사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를 안다는 것은

그의 가슴 안에 있는 시를 읽는 것.

 

한 줄의 시, 또 한 줄의 글를 읽을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하게 된다.

시를 읽는다는 건

존재를 읽는다는 것이다.

산다는 것은
나비처럼 내려앉는 것
어찌되었든

소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도의 사랑 이야기 - 깨달음의 나라 인도가 전하는 또 하나의 특별한 선물
하리쉬 딜론 지음, 류시화 옮김 / 내서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처음 이 이야기들을 만났을 때,  

나는 이야기를 다 읽고 나서도 눈물을 그칠 수가 없었다.   

깊어 가는 밤의 한 끝을 부여잡고  

사랑 속에서 살고 사랑 속에서 죽었던 연인들의 삶을 그리며 

가슴 깊이 아려오는 생의 순간들을  

하염없이 맞고 있어야 했다.  

아, 사랑은 그토록 아프고 슬프면서도 처절하리만치 아름답다.  

심장에 아직 채 아물지 못한 피빛 사랑의 상처를 가진 자라 할지라도

소흐니와 마히왈, 사씨와 푼누, 미르자와 사히반, 히르와 란자의 사랑 이야기를 읽으며 

심장이 그 상처를 부여잡고 뛰는 소리를 다시 듣게 되리라.  

사랑은 결코 멈출 수 없는 것이기에.  

한 번 시작된 사랑은 결코 끝날 수 없는 것이기에.  

충분히 살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들은 진정으로 사랑한 이들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기일회 一期一會
법정(法頂) 지음 / 문학의숲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매년 계절이 바뀔 때면 들려오는 반가운 소식이 있다.    

법정스님의 정기법회 소식이 그것이다.   

무심히 하루하루를 보내다가도 스님의 법회소식이 들려올 때면,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이 한 자리를 지키며 그곳에 계실 스님 생각을 하면  

세상 어딘가 마음 쉴 곳이 있다는 생각에 안심이 되곤 하였다.   

늘 법문을 들으러 간 것은 아니었지만 

법문을 하시고 나면 늘 신문지면의 한 자락을 흐르고 있는 스님의 말씀을 찾아  

몇번이고 되뇌이며 읽곤 하였다.  

수년 전 처음 스님의 법문을 들으러 길상사에 갔던 기억이 있다.  

너무도 많은 사람들 틈에 끼여 스님 얼굴조차 보지 못하고 

다만 그 말씀만 경청하고 나왔었지만    

청량하고 맑은 바람같은 말씀, 꽃같은 웃음소리만은 늘 이 가슴에 머물러 있다.  

그래서인지 스님의 말씀을 글귀로 대하더라도 그때의 그 느낌이 고스란히 전해져 

가슴 한켠이 풋풋하고도 따스한 정감으로 차오르곤 하는 것이다.  

그런 법문이 하나 하나 채록되어져 한 권의 책으로 나왔다니 기쁘기만 하다.  

그렇지만 기쁨으로만 이 책을 읽을 수 없는 것은  

서문에서 말씀하신 스님 말씀이 자꾸만 눈을 아리게 하기 때문이다.  

지난 겨울 폐렴을 앓으셨다는 스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내게 주어진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그런데 그 시간을 무가치한 것, 헛된 것, 무의미한 것에 쓰는 것은 남아 있는 시간들에 대한 모독이다.  

또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을 긍정적이고 밝고 아름다운 것을 위해 써야겠다고 순간순간 마음먹게 된다.  

이것은 나뿐 아니라 모두에게 해당되는 일이다. 우리 모두는 언젠가 이 세상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스승이 육체의 건강을 회복해 더 오래 우리 곁에 머물기를,  

여러 계절을 더 맑은 가르침으로 채워 주기를 바라며 이 법문집을 펴냈다는  

덕현스님, 덕진 스님, 덕문 스님, 류시화 시인의 기원처럼  

스님이 다시 건강해지시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래서 다시금 우리들 앞에 앉으셔서 바람같고 꽃같은 맑은 법문을 들려주시기를  간절히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