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이드 게임
이케이도 준 지음, 민경욱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포츠에 관해서는 거의 문외한이다. 특별히 좋아하는 스포츠도 없고, 룰을 제대로 아는 스포츠도 없다.

월드컵이나 올림픽이 오면 그나마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지만, 그렇다고 열심히 열렬히 응원하는 사람들에 비해서는 또 그렇지도 않다.

그런데 또 스포츠 보다 극적인 장면에서는 질질 잘 운단 말이지....하여튼 우는 것은 차치하고,

몇 해전에 내가 아주 푹 빠져 즐겨보던 드라마가 있었다. 바로 #스토브리그

야구 드라마였지만 야구드라마는 아닌 스토브리그에 아주 푹 빠져있었다. 야구 구단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한 사업체를 운영하는 듯한 이야기가 아주 재미있었다. 야구룰을 몰라도 구단이 어떻게 굴러가는지도 모르는데 그렇게 재미 있던 것은 내가 잘 모르는 곳의 이야기를 제법 잘 구성된 이야기로 잘 풀어내서 였을지도 모른다.

갑자기 왜 스토브리그의 이야기를 하냐면 이 이케이도 준의 <노사이드 게임>이 스토브리그와 조금 비슷하다고 느꼈기 때문이었다. 럭비에 대한 스포츠 물이었지만, 럭비 물이면서 사내 정치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

줄거리는 경영전략실에서 일하는 기미시마가 인수합병 문제로 임원진과 의견차이를 보이다 요코하마 공장으로 좌천되어 동시에 회사에서 소유하고 있는 실업 럭비팀 아스트로스의 제레럴 매니져를 맡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제네럴 매니져라고는 하지만 경영전략을 짜는것 밖에 해온 적이 없는 기미시마는 럭비에 대해 아는게 없다. 룰도 모르고 포지션도 모르는데 당장에 성적부진을 이유로 감독이 사퇴를 해버려서 감독부터 교체 해야하며, 럭비팀을 운영하면서 일본 럭비연맹의 말도 안되는 운영행태를 바로 잡으려고 하고, 그 사이에서 회사에서 벌어지는 일도 해결하는 이야기 였다.


나도 럭비에 대해 그냥 거의 아무것도 모르는 무지랭이에 가까웠는데, 읽는데 크게 불편함이 없었고, 이야기도 생각보다 훌훌 잘 넘어가서 400페이지가 넘는 이야기를 그렇게 어렵게 읽지는 않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설명이 부족한 부분은 있었던 것 같다. 노사이드 클럽은 실업 럭비팀을 배경으로 이야기하는데, 우리나라 실업팀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 스포츠 실업팀은 내가 알기로는 그냥 회사에 소속된 '운동선수'들이지만, 일본의 실업팀은 내가 알기로는 조금 다르게 알고 있다. 작중의 럭비 선수들은 실업팀이면서도 회사원이다. 그러니까 일본의 실업팀은 자신이 소속된 회사에서 근무도 하며 운동도 해야하는 시스템으로 알고 있다. 이 점이 구체적으로 설명이 들어가 있지 않아서 일본의 상황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으음..? 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스포츠는 내가 잘 알건 모르건 내가 접하는 팀을 응원하게 되어있다. 주인공인 기미시마가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럭비팀에 수익이 없는 구조를 뜯어고치려는 과정도 그렇고, 선수들의 고정관념을 깨가면서 서서히 인정 받는 모습을 활자로 읽는 것은 읽으면서도 꽤 통쾌한 순간이었다. 이런 구조는 역시 드라마 스토브리그와 비슷했는데, 이 소설 이미 일본에서도 드라마화가 되어있다고 한다. 읽으면서도 영상화 된다면 꽤 괜찮은 작품이 나오겠다고 생각하긴 했다. 적당히 반전과 감동이 섞여 있어 굉장히 이성적인 이야기였다싶다가도 일본 특유의 감동과 교훈을 주는 부분도 있어 읽으면서 지루하지 않게 이야기를 따라갈 수 있었다.

스토브리그 같은 이야기를 좋아하는 분이시라면 추천하는 책이다.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협찬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