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 과학, 어둠 속의 촛불 사이언스 클래식 38
칼 세이건 지음, 이상헌 옮김, 앤 드루얀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고른 이유는 단 하나였다. 칼 세이건이라는 이름.

그가 과학자이고, 우주에 관한 책인 코스모스의 작가라는 것도 알고 있었다. 물론 코스모스를 아직 읽어본 적은 없다.

언젠가 꼭 읽어 보고 싶은 책 중에 하나가 코스모스이지만 정말 큰 용기를 가지고 읽어야 하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칼 세이건이 쓴 책에 '악령'이라는 단어도 새로웠고, 표지에 나오는 '악마'같은 신화적인 것이 그려져 있는 것도 새로웠다.

칼 세이건이 과학자이고 코스모스를 쓴 작가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흥미롭게 보지 않을까. 사전 지식이 없어도 관심이 가지 않을까 한다.



처음에 책을 받고, 책이 너무 두꺼워서 당황했다. 무려 600페이지가 넘는 장황한 책에 적잖히 당황했지만, 시간이 걸려서 그렇지 재미있게 읽혔다. 물론 어려웠다. 페이지가 넘어가기에 한참인 적도 있었다.

우리는 왜 과학이 아니라,

미신을 믿는가?

책을 읽기 시작하며 목차까지도 궁금했다. 정말 무슨 이야기일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았다. 하지만 읽기 시작하니, 차츰 무슨 이야기 인지 알 수 있게 되었다. 세상엔 미신, 점성술, 외계인, 마녀 등 과학이 발달 하기 전의 '유사과학(비과학)'의 이야기들이 많았다. 과학에 빗대어 본다면 종교에서 신도 허무맹랑한 이야기일테니까 말이다. 칼 세이건은 이런 이야기를 하며, 과학의 중요성을 계속해서 이야기한다. 왜 과학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말이다.



인간들이 주로 미신을 믿는 이유는 정신적인 문제도 있다 라고 이 책에서는 이야기한다.

간단한 예로 예전에 날씨에 대한 과학이 증명되지 않았을 때 번개나 천둥이 치면 신이 노여워 하셔서 그렇다고 기도를 하는 부분이 그렇다 하지만 과학이 증명된 지금 세상은 천둥 번개가 치면 날씨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미신이 아니고 과학적으로 믿게 되었다.

이런 부분의 지금까지의 유사과학과 빗대어 과학으로 증명하는 부분이 흥미로웠다.

하지만 과학이 많이 증명된 시점에도 미신들은 꾸준히 나오고, 새로운 악령과 같은 음모론이 나오고 세상 사람들은 이런 이야기들에 쉽게 관심을 보인다. 결국 현대의 사람들은,

사람들은 진실에 관심이 없다.

사람들은 자신이 믿고 싶은 것을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