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인생을 바꾸는 세 가지 진실
노구치 요시노리 지음, 김지룡 옮김 / 청림출판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돌고 돌아, 다시 직장 생활한지 8개월 정도 지났다. 조직생활은 나에게 안 맞다고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던 내가, 비교적 조용하게 잘 다니고 있다. 일이 편해서 일수도 있겠고,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겨서 책임감이 커졌다고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마음 한 켠에 항상 자리잡고 있는것은 얼마되지 않는 과거에 겪은 실패에 대한 상처와 미련이 아직도 남아서 일수도 있겠다. 아무도 나에게 뭐라고 하지 않고, 나도 남에게 말하지 않지만, 쓰디쓴 기억은 떠올릴때마다 생생하다. 좀더 달랠 시간이 필요한지 계획없이 남독하는 시간이 계속된다.
 그러는 요즘 만난 책이 바로 이책 < 인생을 바꾸는 세가지 진실>이다. 저자는 일본사람인데, 잘 모르겠고, 역자가 일본대중문화평론가로 이름을 날렸던 김지룡씨다. <나는 일본 문화가 재미있다.>에서 , 이렇게 싱글로 즐기면서 사는 것도 괜찮겠구나 하고 생각했던 기억이 나는데, 이 책을 보니 어엿한 가장에 애아빠란다. 궁금해서 역자후기를 먼저 보고 말았다. 결혼과 아이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에 살짝 놀랬다. 그리고 이책에 대한 강추도 있었다.
 한 청년사업가가 나온다. 사회생활초반에 자기가 이루어야할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부지런히 노력에 이제 목표필달(!)를 얼마 남겨놓지 않는 상활에서 갑자기 일이 터진다. 회사의 핵심직원3명이 동시에 사직하겠다고 통보한것! 그리고 나가서 같은 일을 하는 회사를 차린단다. 사업가는 망연자실해서 집으로 오지만, 가정 역시 그동안 참아왔던 갈등들이 표출된다. 남편한테 불만이 많은 아내와 학교에 가지않고 아빠를 실망시키는 아들.
 그러다 회사에서 어떤 노인을 만나게 되는데, 그와 사업가는 생면부지 이지만 말이 잘 통해서 계속 대화를 나눈다.
솔직한 대화를 통해서, 사업가는 인생을 살아가는 데 진정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게 된다. 노인은 다양한 설명과 비유를 통해, 사업가에게 '인생을 바꾸는 세가지 진실'을 알려준다.

그 세가지 중 첫번쨰는 인간은 육체를 넘어선 존재라는 것이다. 즉 비록 몸은 현재의 '나'이지만 그 전의 나가 현재와도 연결되어있다는 것이다. 그 연결 매체는 사랑이다.
나머지 진실들 역시 노인의 대화에서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다.

사실 이런 우화 류의 책이 처음은 아니다. 몇 권의 경험을 떠올려보면, 핵심개념들을 잘 배치하고 이야기순서에 맞게 잘 풀어나간 경우는 재미도 있어서 술술 읽히고 , 여러 개념이나 주장들을 자연스럽게 익힐수 있어서 좋았다. 하지만  이야기와 개념이 분리되어 진행된다던지 , 흐름이 맞지 않을때는 읽고 나서도 별 감흥이 없었다. (개인적으로는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가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자기실현과 인생의 행복 이라는 저자의 전공을 다룬 책이다. 소재 자체가 현실적이지 않고 살짝 뜬 경우라 그런지 우화를 읽어도 그렇게 재미있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나에게 저자의 진심을 이해할만한 절실함이 부족한 탓이리라. 이 때까지 나를 길러주었던, 하지만 옥석을 구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의 희생양이 된 책들처럼 단순하고 당연하지만 분명한 주장을 하고 있다. 다음에 다시한번 귀를 기울여 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어라, 남자 - 농부 김광화의 몸 살림, 마음 치유 이야기
김광화 지음 / 이루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제목만 보고 든 선입견은, 남녀평등이 보편화된 시대에서  강한 남성으로 살아가기힘든 현실에서 절망하다 새로운 자각을 해서 다시 시작하는 내용 일꺼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서문을 읽으면서 조짐이 이상하고, 초반부를 읽으니 기대와는 다른 방향으로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삶에 지쳐있었던것은 맞지만 굳이 남녀대립구도에서의 상황이 아니라 남녀하고는 상관없는 한 남자(여기에 여자를 넣어도 무방한)의 건강한 삶 찾기가 주 내용이다. 물론 남성성을 확립하는것과 상관이 없는건 아니지만, 아무튼 처음 예상과는 내용이 다르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지쳐서 쓰러지기 직전인 자신을 발견하고, 시골로 돌아가 기존과는 다른 삶은 선택하는 모습을 담았고, 2부는 그 안의 공간에서의 삶의 모습을 이야기하고, 3부는 특별히 부부간의 관계를 위한 '부부연애'를 보여주고, 4부는 그 외에 나머지 이야기를 하고 있다.

내용은 주로 자신의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한 몸부림과 일상의 소소한 모습들과 그에 대한 단상으로 대부분 채워져있다. 흔히(사실 잘 알지고 못하지만 피상적으로 알고 있는) 귀농에 관한 책이라면 , 대강 귀농하기된 배경, 결심과정과 실행, 정착, 그곳에서의 삶  등이 뼈대가 될 법한데, 이 책은 그렇게'포장'하지 않고 그저 저자의 생각과 고민들을 들려준다. 읽기 편하게 꾸미거나, 세련되게 전개하는 부분은 별로 없어 보인다. 오히려 뭉뚱하게 깎은 연필로 한글자 한글자 꾹꾹 눌러쓴 자국을 보는 듯하다. 실제로 체험한 것을 바탕으로 쓴다는 것과 투박하지만 솔직하게 쓴다는 점이 , 저자가 하고 싶어하는 말에 진정성을 더하는것 같다. 이런 류의 책은 한장 한장 곱씹으며 천천히 읽는것이 좋을것이다. 

책를 빨리 그리고 정확하게 읽어야만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사는 나한테 이 책은 답답했다. 빨리 진도가 나가지 않아서, 빨리 내용을 정리하고 요약해서 분류를 해야하는데, 제대로 안되서 마음이 불편했는데, 나 역시 저자가 처음에 겪었던 '삶에 지치고 힘들어하는' 상태가 되어가고 있는건 아닌지,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된다. 

감당하기 힘든 삶의 무게에 마음이 힘들고 지치있는 분이라면 , 어떻게 역시 힘들어했던 저자가 어떻게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신을 치유하고, 부부사이를  '연애'하게 하는지 부담없이 천천히 읽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주에 1권 책 읽기 - 나를 발전시키는 첫 번째 습관
윤성화 지음 / 더난출판사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독서에 대해 전반적으로 잘 쓰신거 같네요. 독서가 좋은것은 누구나 알지만

실제로 생활에서 중요한것으로 되기까지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다시한번더 독서를 '취미'로 만들어야겟다는 생각이 불끈~ 드네요.^^

그런데, 책 뒷부분에 p215에 다치바나 다카시를 언급한 구절에서,

다음 단락에 그녀라고 하셨는지, 그분은 남자 아닌가요?

책 만드는 과정에서 실수가 있는것인지, 궁금하네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윤성화 2007-08-24 18: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답변 드렸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