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가지 감정, 행복 일기 생각을 더하면 1
임성관 지음, 강은옥 그림 / 책속물고기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표현력이 부족한 아이들은 자신들의 감정 표현을 정확히 할 줄 모른다.

설사 표현력이 좋다 한들 주관적인 입장에서 좋으면 좋은 거고 자신이 싫으면 싫은 거다.

좋고 싫음에도 종류가 다양하지만 아이들은 어떻게 좋고 어떻게 싫은지 잘 모른다.

이러한 것들은 어른인 나도 딱히 구분지어 표현하기 어렵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것들의 세세한 면을 배울 수 있다.

열두 가지 감정 주머니에 담긴 이야기를 통해서 자신들이 느끼는 감정이 어디에 속하는

것인지를 배워볼 수 있다.

 

기쁨, 행복, 만족, 분노, 질투, 공포, 슬픔, 우울, 외로움, 자신감, 공감, 사랑의 열두 가지

감정에 대해서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면 아이들의 정신건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감정들을 통제하기도 하고 잘 다루어서 행복으로 이끈다면 건강한 성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어른들도 제어하기 힘든 감정들을 아이들이 어떻게 조절할 수 있을지 의문스러웠었다.

이 말을 바꾸어 말하면 어른이 되어서도 조절하기 힘든 감정을 아이들이 어떻게 조절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었다.

이 말을 다시 바꾸어 말하면 어른이 되어도 조절하기 힘든 감정은 어렸을 적부터 

연습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는 말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슬픈 일이 있어서 울어야 할 때는 충분히 우는 것이 좋다.

무서운 마음을 이겨내는 방법은 많은 경험을 쌓는 거다.

만족을 모자람이 없이 충분하고 넉넉한 마음이다.

사람이 사람을 외롭게 한다.

자신감을 갖고 힘을 내면 미래에 내 꿈을 펼칠 수 있다. 등등

구체적인 예와 질문을 통해서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고 있다.

 

이야기를 통해서 배운 감정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2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감정 알아맞히기를 통해서 주어진 상황속에서 느껴지는 감정이 맞는 것인지 확인해 보게 된다.

감정을 이해하고 감정어 사전에서 용어적 의미를 정확히 알고 나서 행복한 마음으로 이끄는 

감정 일기를 쓰게 된다.

감정 일기를 쓰는 방법과 예시문이 있기 때문에 따라해 볼 수 있다. 

이 일기를 통해서 아이들의 마음이 후련해지기도 할 것 같고 쓰다보면 좋은 감정은 배가 되고

힘든 감정은 줄어들 것 같다. 

어렸을 적부터 이렇게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는 연습을 하면 어른이 되어서 힘든 감정을 만나게

되는 상황이  되었을 때 조금은 덜 힘들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