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1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인규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작품은 감수성이 풍부한 청소년과 청년시절에 읽어야 제 맛이다. 그러나 그런 여건이 되지 못한다. 그래도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라도 먹고자 하는 개의 심정으로, 문학서적을 손에 잡고는 한다.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읽으면서, 나는 놀라고 말았다. 나에게도 아직 감수성이 실아 있음을 느꼈다. 어쩜, <노인과 바다> 이 책은 지금 더 내게 풍성한 의미를 준다.

 

<노인과 바다>는 헤밍웨이의 마지막 작품으로(1952년), 이 작품으로 퓨리쳐상과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등장인물은 노인 산티아고, 소년 마놀린, 그리고 바다와 물고기들과 새들 정도이다. 어쩜, 이렇게 단순한 이야기와 단순한 등장인물로 큰 상을 받을 수 있단 말인가? 이 책에는 무슨 특별한 것이 있단 말인가. 그저 짧다는 이유로, 유명하다는 이유로, 부담없이 책을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나는 놀라고 말았다. 문학의 목적은 카타르시스이다. 내 마음에 카타르시스가 일어나는 것을 느꼈다. 책을 읽으면서, 자각이 일어나고, 내 실존이 보였고, 고독과 외로움 속에서 치열하게 삶을 살아가는 인생을 생각하게 되었다.

 

노인은 한 물 간 어부가 되었다. 왕년엔 대단했다. 그러나 지금 84일간 고기를 잡지 못한다. 이것은 한 때 유명했으나 이제는 글을 쓰는 영감이 떨어져서 퇴물이 되어가는 헤밍웨이 자신의 상황이었으리라. 노인은 '큰 물고기'를 잡고야 말겠다고 포기하지 않고 바다에 나간다. 소년 마놀린는 이 노인을 '최고의 어부'라고 존경하고 따른다. 노인은 겸양하며 훌륭한 어부들이 따로 있다고 한다. 그러나 소년은 분명히 말한다. "최고의 어부는 할아버지예요." "오직 당신 밖에 없어요." (There is only you.) 와~ 이런 말을 해주는 그 누군가가 우리는 필요하다.

 

노인은 홀로 바다에 나갔다. 어떤 이는 바다를 경쟁자, 적대자(엘마르)로 보지만, 노인은 바다를 애인(엘마르)으로 본다. 바다에서 나온 모든 것은 좋은 것이라고 받아들인다. 바다는 인생을, 우리의 직업을 상징하는 것으로 생각할 때, 이 책은 더욱 흥미로워졌다. 홀로 외로움과 고독 속에서 노인은 홀로 대화하고, 군함새와 대화하고, 바다와 자기 자신과 대화한다. 작가가 묘사하는 바다 색깔, 노인의 내면의 심정 등이 재미있다.

 

마침내 큰 물고기를 잡았다! 노인은 3일간이나 이 큰 물고기와 싸움을 한다. 제대로 자지도 먹지도 못하는 상황, 순간 순간 변하는 상황에 대처하는면 3일간 사투를 벌인다. 노인은 포기하지 않는다. 포기할 생각이라고는 전혀 없다. 큰 물고기와 대화를 한다. "너를 존중한다. 너를 보고 싶다. 그러나 나는 너를 잡아야 한다." 이 큰 물고기는 작가에게는 글쓰기 소재나 파토스일 것이고, 사업가에게는 대박을 말할 것이고, 개인의 한 인생에서 위대한 업적을 말할 것이다. 그런 '큰 물고기'를 만나는 것은 인내가 필요하다. 설령 큰 물고기가 걸렸다고 해도, 그 큰 물고기와 씨름해서 낚아 올리는 것은 대단한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 

 

나는 때로는 노인이 되기도하고, 때로는 큰 물고기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감정이입은 과정은 현재의 고단한 삶의 긴장을 풀어내는 카타르시스의 역할을 한다. 큰 물고기를 잡기 위해서 노인은 마음을 지키고, 생선회를 먹으면서 몸의 건강을 유지하고, 낚시 줄을 붙잡느라고 쥐가 나고 피가 나는 몸을 잘 추스리며 사투를 벌여야 했다. 마침내, 큰 물고기를 잡았다. 큰 물고기는 고깃배보다 더 크다. 18피트(약 6미터). 그렇다. 인간이 이루는 업적은 참으로 대단하다. 자기 보다 큰 물고기를 잡아올리는 것과 같다. 인간은 위대하다. 노인은 상상도 못한 대어에 희열을 느끼고 행복해한다. 꿈을 꾸는 것만 같다.

 

이제 쿠바의 하바나 항구로 돌아가야 한다. 인생의 정점이 있으면 내려놀 때가 있다. 큰 물고기를 배에 묶고 가는데 상어들이 피냄새를 맡고 계속 공격해온다. 공격해오는 상어들과 싸움을 또 벌인다. 이제는 잡은 큰 물고기를 지켜내기 위한 싸움이다. 항구에 돌아왔을 때는 큰 물고기의 머리와 꼬리 그리고 뼈밖에 남지 않았다. 허무하게 큰 물고기를 보존해서 오지 못했다. 그저 이 노인의 영웅적인 이야기만 막연하게 회자될 뿐이다.

 

내가 이 소설에서 재미있던 부분은 바다를 대하는 노인의 태도(인생과 자기 일을 대하는 개인의 자세),  그리고 노인의 독백들, 큰 물고기와 노인의 팽팽한 긴장관계 등이다. 정말 현실은 큰 물고기를 잡은 노인처럼 팽팽한 긴장의 연속이다. 큰 물고기에 끌려가는 것인지, 큰 물고기를 잡고 가는 것인지 모를 지경이다. 또 큰 물고기를 포기할 수도 없고, 큰 물고기를 잘 지켜서 항구로 돌아갈 수도 없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애매한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에게 주어진 현실을 그대로 직시하고, 포기하지 않고 꿋꿋하게 항구까지 도달하는 것이 인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