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플라톤 국가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4
손영운 지음, 이규환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서울대 인문고전 50선은 참으로 대단한 역작이다. 플라톤의 <국가>는 10권의 방대한 책인데, 이렇게 만화로 접할 수 있다는 자체에 경이감을 느낀다. 독서모임에서 플라톤의 <대화편>을 읽으면서, 소크라테스에 대하여 더 공부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당시의 역사, 문화, 지리 등을 공부하고 싶었다. 

 

이러한 갈급함과 절박함을 느낄 때, 인문고전 50선 플라톤의 <국가>는 단비와 같았다. 매료되었다. 내가 추구했던 지식들을 필요충분하게 채울 수가 있었다. 플라톤이 민주주의를 비판했던 배경과 그 진의도 알게 되었다. 시칠리아의 시라쿠사, 펠로포네소스 동맹과 델로스 동맹 등 등의 지리적 역사적 배경도 흥미로웠다.

 

플라톤은 민주주의도 지지하지 않았고, <국가> 10권에 등장하는 정부, 결혼, 자녀교육, 정치체제, 인구, 육체와 영혼, 삶과 죽음의 문제 등이 현실적이지 않고 말 그대로 '이상적인데' 무슨 소용이 있는가? 이 책이 어떤 정답을 말하지는 않지만, 오늘날에도 중요한 주제들에 대하여 대화하듯이, 펼쳐나가고 '생각할 계기'를 준다는 점에서는 오늘날도 여전히 살아 있는 고전이다. 정의란 무엇인가? 올바른 국가는 어떤 형태인가? 어떻게 정치를 해야 하나? 등에 대한 통찰을 준다.

 

"서양철학은 플라톤의 주석이다."(화이트헤드)가 말했는데,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홉스, 존 로크, 루소 등 인간이해, 국가론, 교육론 등.... 이후로 펼쳐질 사상의 메뉴를 모두 제공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을 알게 되어 기쁘다. 나머지 50선도 그렇게 공부 하고 싶다.

 

플라톤의 <국가> 10권을 만화책 1권으로 말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아닌가? 아니다. 그 누가 플라톤의 <국가>를 2-3시간 동안 강연해주는 것보다 더 가치가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 그 어느 누가 어설프게 한 두 마디 해주는 것보다, 이 책을 읽으면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어서 참으로 유익하다. * 얼마나 좋았는지, 자녀에게 꼭 추천하고 읽히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