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한길그레이트북스 40
윌리엄 제임스 지음, 김재영 옮김 / 한길사 / 200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윌리엄 제임스 <종교체험의 다양성> 그는 자신을 초자연주의자라고 한다. 종교학은 이론이다. 그러나 제임스는 '신앙 상태' faith status?을 선호한다. 술취한 것을 이해해도 술취한 것은 아니다. 100킬로로 달리는 자동차의 사진이 달리는 즐거움을 즐기는 것은 아니다. 성 프란시스코도 지나친 지적인 호기심보다는 초월적인 절대자, 우주적인 존재와의 합일 자체를 추구했다. 이론은 필요하지만 한계가 있다. 과학도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또 하나의 유행일 수도 있다고 한다. 종교의 본질은 인간의 종교 체험이다. 그것은 인간을 연합하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어야 한다.

 

종교는 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인간을 위한 것이며, 삶을 위한 것이다. "종교의 추진력은 삶에 대한 사랑에 있다." "종교는 하나님에 대한 물음이 아니며, 세계의 기원이나 목적에 대한 탐구도 아니다. 종교는 인간에 대한 물음이다. 모든 종교의 인생관은 인간중심적이다." "종교는 인간이 잘못된 세계의 압력에 직면하여 자신의 힘의 한계를 느낄 때 세계의 질서를 정하고 통치하는 힘에 의존함으로써 삶의 본질적인 목적을 수행하려는 자기 보존행위이다." (W. Bender) 새로운 인간됨의 추구이다. 그렇다면 이것은 종교학자 엘리아데의 이상이었던가. '새로운 인본주의'라고 했던가. 그런 면에서 개신교는 카톨릭보다 매우 건조하고 메마른 것이다. 물론 개신교의 교리의 내용을 공격할 수는 없으나 개신교는 과즙이 없는 과일처럼 인간의 많은 상징과 체험을 제거했다고 지적한다. 인간의 다양성과 통합의 관점에서 본다면,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은 방해가 된다는 것이 제임스의 입장이다.

 

흥미로운 것은 <후기>에서 그가 밝히기를, 이 책의 원고를 보고서 몸서리쳤다고 한다. 너무나도 신비적이고, 특이한 종교체험을 소개하다 보니, 책이 목적한 방향과 다르지 않는지 반문했다고 한다. 그는 종교의 주관적인 부분이 없으면 과일의 과즙이 없는 것과 같다고 한다. 저급한 자아를 버리고 더 높은 자아와의 연합, 새로운 인간됨이 모든 종교의 목적이라고 보았다.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관념의 세계와 사실의 세계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관념의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를 부정한다면 그것은 인간을 황폐화시키는 것이리라고 말한다.

 

김재영(프로이트 전문가)의 번역은 원저자의 맛을 살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산만하게 만들었다. 그런 면에서 김성민(칼 융 전문가)의 번역이 더 저자의 뜻을 잘 전달해준다. 영어원서로 읽는 것이 더 쉽다고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