슐라이어마허 - 감동과 대화의 사상가 현대 신학자평전 4
최신한 지음 / 살림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슐라이어마허는 현대신학의 아버지이다. 데카르트가 철학의 주제를 '의식'(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으로 바꾸었다면, 슐라이어마허는 신학의 주제를 교리와 형이상학에서 직접적인 자기의식, 곧 감정으로 바꾸었다. '주체성의 신학'을 했다는 점에서 그는 현대신학의 창시자이며, 직접적으로 신과 매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프로테스탄트의 만인제사장설을 반영하고 있다. 슐라이어마허는 자유주의, 위험한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아서 보수적인 한국사회에 잘 소개되어 있지 않다. 그는 당시 계몽주의의 이성과 의지, 도덕과 교리중심의 종교에서 기독교를 구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종교의 본질은 감정이며, 그것은 직접적인 자기 의식이며, 최고의 직접적 자기의식은 경건이라고 하였다. 경건은 신의식과 죄와 은총의식이다. 슐라이어마허의 전도사 최신한의 이 책은 슐라이어마허의 생애와 사상을 다룬다. <종교론> <신앙론> <독백> <성탄축제> 등의 책에 나오는 슐라이어마허의 사상을 소개하며, 그의 사상이 나온 당시의 계몽주의, 경건주의의 배경들을 다루고 있다.


슐라이어마허는 이성과 의지, 도덕종교, 합리종교의 사회는 '무한'을 빠트렸으며, 기독교의 본질을 빠트렸다고 보고, 인간 안에 있는 종교의 불꽃을 다시  피우고자 했다. 종교는 신의식, 절대의존의 감정, 경건이라고 하였다. 감정에는 자유와 의존이 있다. 세계에 대하여는 자유이며(영향을 주고 받는다), 신에 대하여는 절대의존이다(영향을 줄 수 없고 받기만 한다). 감정에는 매개된 감정=성찰된 감정, 동물적 감정(자연적 감정)이 있다. 개인의 영혼은 경건이 자리하는 곳이다. 내면이 형성된 개인은 공동체를 이룬다. 


절대의존의 감정=경건, '감정' '주체성'을 다룬다는 것은 자의적인 것이 아니다. 무조건적인 감정이며, 신의식의 감정이다.

주체성의 신학은 아래로부터의 귀납법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이는 교리학이나 신조, 요리문답과 같은 연역적 방법이 아니다.

그에 따르면, 교의학의 역사적인 시대정신을 반영해야지만 생동적이고 살아 있는 것이다. 교의학이 성서신학이나 조직신학 위에 있는 것이 아니다. 절대진리가 아니라, 교의학은 당시의 학문과 신앙의 물음들에 대한 응답이며,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교의학은 역사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가 교의학를 교회사로 변질시킨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한 그의 변론이 최신한의 책이 나타나 있다. (글쓴 후에 그것을 정리하자.)


단점. 사실 그의 기독교 신학은 기존의 삼위일체론과 부합하지 않는다. 그는 <신앙론> 끝을 삼위일체론으로 끝냈다. 그러면서 삼위일체론은 별개로 더 논의해야할 주제라고 말한다./ 그가 시도한 것은 '학문성'을 토대로 한 개신교 교의학이다. <신앙론>이다. <종교론>과 달리, <신앙론>은 경건, 즉 기독교인의 특성을 표현하고자 했다. 교의학은 단지 경건의 감정이 없는 그런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 <신앙론>의 핵심은 경건의 감정이다. / 문제는 복음의 초점인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과 부활 등의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술은 없다. 물론 그의 설교에 나타나겠지. 오직 '주체성의 문제' 인간의 수용성, 감정의 구분, 죄와 은총의 감정의 대립, 동물적 감정과 인륜적 감정 등을 다루고 있다. 자유감정/절대의존의 감정(163) / <신앙론>의 목적, 경건의 본질 탐구, 기독교적 경건의 특징 밝힌다(162)/ 세계와의 관계를 넘어서(계몽주의) 우주를 직관하는 의식(신의식)을 말할 때는, 스피노자, 류영모, 야코비 등이 생각난다. *신앙은 경건의 감정에 토대를 두는 것이지, 교리체계에 토대를 둔 것이 아니다./ 물론 기독교의 경건은 그리스도에 의해 이루어진 구원의 사건을 토대로한다는 점에서 기독교는 다른 종교와 차이가 난다.(165)/ 주관성 신학인 <신앙론>의 핵심은 기독론이다. 세계에 대한 자유감정이나 신에 대한 의존감정은 그리스도의 구원에 대한 의식에서 최고상태에 돌하며 완전한 주관성에 이른다.(170) / 신앙을 갖는 것은 구원의 의식을 갖는 것이며, 이는 그리스도의 의식을 갖는 것과 같다.(170) 그리스도는 새로운 삶의 출발점이다.(171) 할 말이나 주제를 놓쳤는데, 그러면 책을 정리하자. # 비판 1: 이성과 도덕을 신앙에서 배제했다. 신앙을 내면성에 둘 때 이성과 신앙 간의 매개가 불가능하다.(172) 비판2: 반계몽적 초자연주은 그를 범신론에 빠졌다고 비판한다. 그를 지극히 자연주의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비판한다. 근거는 신앙을 위해 경건한 감정이나 직접적 자기 의식과 같은 인간적 가능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비판3: 종교적 각성주의와 신조주의에서는 그가 신앙과 비신앙사이에 분명한 선을 긋지 않는다는 비판을 한다. 창조와 심판교리, 메시야사상, 세계와 인간의 유한성 등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다고 말한다. / 튀빙겐의 신학부 바우어는 <신앙론>은 역사성을 결여한다고 지적한다. 즉 기독교의 역사, 예수의 역사적 사건 등이다. 역사적인 것을 간과함으로써 주관주의에 빠졌다고 지적한다. 비판4: 제자격인 헤겔은 비판한다. <신앙론>에 대한 반발로 <종교철학강의>를 한다. 신앙을 '절대의존감정'으로 규정한 것을 비판하는 것이다. '의존성'을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유한한 종교이며, 기독교는 완전한 종교로서 이러한 유한성을 넘어서 있다고 주장한다. 로마종교는 공포와 의존성의 감정이 지배적이지만, 기독교 신앙의 목표는 자유라고 설득력있게 반박한다. (의존성이 중요하다면, 개가 최고의 기독교인다. 왜? 개는 절대로 의존하니까.)175쪽


슐라이어마허는 역사성, 학문을 교의학의 중요한 요소로 다룬다. 철학과 신학, 신앙(계시)과 학문의 조화를 추구한다. 주관성에 무관하게 주어지는 도그마는 어떤 방식으로든 인간의 내면성 가운데서 되살아나야 한다. # 비판의 두 입장: 1. 개신교 보수주의: 계시의 절대성을 상대화했다. 계시의 역사성이 결핍되었다는 비판 2. 철학의 계몽주의적 입장: 감정을 강조함으로 이성을 약화시켰다는 비판/ * 교의학의 기본 형식은 '인간 삶의 상태' 내지 '기독교인의 내적 경험'에 대한 기술이 되어야 한다.


<신앙론> 2판 1장 '교회의 개념'을 다룸. 4부분

  1. 기독교의 본질을 경건으로 간주
    1. 경건이 형성되는 교회 공동체를 설명
    2. 경건은 모든 교회 공동체의 토대로서 "지식도 행위도 아니며 감정과 접적 자기의식의 규정성이다."(CG2 3절) 경건은 절대의존의 감정 내지 신의식이다.(4절) 경건은 교회 공동체와 관계하는 인간 본성의 근본요소로 간주한다.(6절)
  2. 경건의 형태: 
    1. 경건한 공동체: 역사적으로 등장한 상이한 전개단계 7절
    2. 유일신론적 경건, 물신주의와 다신론 8절
    3. 자연적 인간상태와 인륜적인 인간상태/ 목적론적 경건(기독교)와 심미론적 경건.(9절) *윤리학의 문제
    4. 공동체적 경건: 역사적이며 내적인 , 10절
  3. 기독교의 본질: "기독교는 일신론적 신앙방식이며, 이 경건의 모든 것은 나사렛 예수를 통해 성취되 구원에 관련된다는 사실을 통해 다른 경건과 본질적으로 구별된다. 11절 역사 속에 구속자가 나타난 기독론적 매개의 사실을 신의 계시로 받아들인다. 구원의 사건은 초자연적인 것도, 초이성적인 것도 아니다.(13절) 계시가 역사적이라는, 합리적인 요소가 있다는 Tony Kim박사의 입장과 통함. 기독교 신앙공동체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예수 바깥에는 불가능하다. 14절)
  4. 교의학과 기독교적 경건의 관 계
    1. 교의적 명제의 교회적 가치와 학문적 가치의 관계성 17절
    2. "교리 신학은 일정한 시대의 기독교 교회 공동체에서 유효한 가르침의 연관에 관한 학문이다."(19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