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교의 훈련 키르케고르 선집 2
키에르케고르 지음, 임춘갑 옮김 / 다산글방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키에르케고어의 최고의 책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역사적 예수에 대한 탐구가 신앙이 어떤 한계가 있는가? 만일 한계가 있다면, 예수를 따른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키에르케고어는 예수를 찬양하는 자(praiser)와 따르는 자(follower), 승리의 교회와 전투의 교회를 구분하면서, 실존적으로 예수를 믿는다는 의미를 분명하게 강조하고 있다. 진리를 추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권하고 싶다.  

승리의 교회는 그저 또 다른 구경꾼을 더 많이 끌어 모으는 일을 가장 큰 사명으로 여기며 숫적 팽창에 신경 쓰게 된다. 다시 말해서, 고난에 동참하여 진리를 파지하는 본질은 잊어버리고, 숫자만 동원하는 비본질적인 것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는 교회가 되고 말았다고 안티 클리마쿠스는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투의 교회는 ‘단독자’를 필요로 하는 참된 교회이지만, 승리의 교회는 결단과 신앙, 위험이 없이 따르는 얌체같은 대중들로 넘쳐나는 비만에 걸려 퉁퉁 부었으나 힘이 없는 교회가 되었다고 안티 클리마쿠스(이 책을 쓴 키에르케고어의 가명의 저자)는 풍자하고 있다.  

 안티 클리마쿠스는 그리스도의 부르심은 이 세상에서의 편안함과 명예와 권세를 보장하지 않고, 오히려 고난과 시련 속에서 함께 죽으러 가자고 부르는 자기 부인에로의 초대라고 보았다. 그것은 위험한 초대요, 실족을 극복해야만 하는 초대이다. 결국, 진리는 좁은 길로 가는 것이 아니라, 좁은 길로 가기 때문에 진리라고 완전하고 이상적인 기독교인인 가명의 저자 안티 클리마쿠스는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