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킹핀 이후 K-산업 2.0 - 제조·수출에서 K-지식서비스 경제로 ㅣ 포스트 수출 강국 신성장 해법 2
박광기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포스트 수출 강국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인 '킹핀 이후 K-산업 20'도 이어서 보게 되었다.
책의 저자는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전환기에 우리 사회가 당면한 경제 문제를 국가 단위 기업가 정신을 발휘해 해결하자는 신성장전략을 연구해왔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산업정책 전환과 경제성장 모델의 혁신 방안을 제시하는 이 책은 모두 3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에서는 기존 산업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산업정책 2.0’을 제안한다.
기존 주력산업에서의 초격차 전략 등은 모두 실패하고 있고 이제는 한국만의 새로운 산업정책과 새로운 성장전략이 요구된다.
국가 단위 비교우위 재구축이 우선이라는 말이 나온다.
먼저 미래산업 비전이 서야 혼선을 줄이면서 효과적인 자원 배분과 재배치를 할 수 있다.
PART 2에서 관세전쟁에 대응하는 FTA 2.0 통상 모델이 나와있다.
우선 상품 수출 시장에서 국가 아젠다 맞춤형 개발 시장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미국 발 관세 전쟁 등 통상환경의 판이 바뀌고 있기 때문에 수출 강국 전략을 유지한다면 안 될 것이고
단순 상품교역을 넘어 상대국과의 화학적 경제통합을 지향해야한다.
PART 3에서는 지식서비스 기반 5대 선진형 산업 플랫폼을 구체화한다.
지식산업에서는 산업현장 기술 기반 제조 지식, 엔지니어링, 위탁경영 서비스가 있다.
우리의 경험 노하우와 기술을 부가가치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기존 산업의 업종과 제조 기술 등을 융합해 상대국의 아젠다를 해결해주는 맞춤형 개발사업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관광산업 같은 경우 세계 목적성 관광의 허브로서 테마 관광대국을 지향한다.
이제 먹거리, 볼거리 관광 등에서 목적성 관광으로 관광문화가 바뀌고 있는데
관광객이 스스로 찾아오게 하는 환경을 먼저 만들어주어야 한다고 한다.


저번 책에 이어서 사실 내용은 이해하기 쉽진 않았지만 어려운 내용은 조금 더 설명이 부가적으로 되어있었다.
추가적인 설명을 하는 부분은 녹색으로 표시되어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
조만간 기회가 되면 다시 꼼꼼하게 읽어보아야겠다.
저자의 말처럼 이제는 더이상 수출 등에 의지해야할 것이 아니라 시대에 맞게
새로운 시장도 찾아보고 노력을 해야 성장을 이끌어나갈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책을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 산업은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