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 - 인생의 중간항로에서 만나는 융 심리학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흔이란 나이는 인생에서 중간쯤 있는 것 같단 생각이 든다. 성실하게 다니던 회사를 퇴사하고 창업에 뛰어 든다 던지, 전업주부의 생활을 접고 공무원시험에 도전하는 여성등 도전하는 사람도 있는가 반면 현실에 안주하여 사는 사람도 있다. 다시 20대처럼 도전하여 시도하는 사람들을 보면 그 용기는 어디서 나오는 걸까하는 부러움과 걱정스러운 마음이 동시에 든다.

 

철학자 융이 말하길 진정한 치유는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라고 한 것처럼 인간은 홀로서야한다고 한다. 왜 마흔이 돼서야 마음의 동요가 오는 것일까. 인생을 뒤돌아 보니 나로 산적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의 답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누군가의 어머니, 누군가의 아빠로서 성실히 그 역할을 해온 것 일뿐, 당신은 자기자신이 되본적이 있는가 라는 질문에 명쾌한 답변을 늘어놓지 못한다. 문제는 부모가 필연적으로 자신이 살지 못한 삶을 자식에게 투영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였다. 부모가 살아보지 못한 삶을 말이다. 자녀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성인이 된 자녀는 부모를 원망하며 살 수도 있다. 드라마에 자주 나오는 내가 되고 싶어서 그랬어? 의대는 엄마가 가라해서 간거잖아라는 주인공의 꿈을 찾는 그런 드라마가 될 가능성이 있다.

 

결국 자녀를 위해서도, 본인을 위해서도 자신을 찾는 여정은 중요하다. 그 과정이 힘들지 언정 이라도 말이다. 자신이 누구인지, 인생에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새롭게 나에게 질문해야 한다. 인생은 흘러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택해야 한다.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 두렵더라도 말이다. 의식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은 무엇일지 직면해야 한다라고 조언한다. 모든 것은 운명이 아니라 자신의 선택으로 이루어진 결과이기 때문이다. 나에게 충실하면 내 인생도 바뀔것이라 확신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