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소설가의 농담
김준녕 지음 / 채륜서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첫장에 농담이니 기억하려 하지 말고 그저 흘려보내라고 말한다. 이 말이 책 처음에 있어서 책 읽는 동안 아주 가볍고 편한 마음으로 읽을 수 있었다. 소설가의 농담을 즐길 수 있었다. 


어쩔땐 픽- 하고 웃기도 하고, 너무나 공감이 되서 씁쓸하기도 했다. 웃픈 농담들도 많아서 '맞아 세상은 그렇지.'하며 위로 받았다. 나는 때때로 하고 싶은말을 꾹 참으며 살아가는데, 하고 싶은 말을 이렇게 많은 사람에게 할 수 있다는 것도 새삼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의 소설도 한번 읽어봐야겠다. 


112p- 부동산 가격은 감히 쳐다보기 힘들 정도로 오르고, 주식 가격은 날마다 널뛰기를 한다. 이런 상황에서 노동의 의미는 희미해져간다. 열심히 머리를 싸매고 일해봤자, 부모에게 건물 하나 물려받은 백수 친구가 자기 연봉의 몇 배를 한 달 만에 번다. 오늘날 많은 사람이 느끼는 패배주의는 이러한 자본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중략) 자본주의를 이루는 모든 가치가 상호 보완적인 것은 아닌 것은 알겠으나, 오늘날 자본 차이에서 기인한 패배주의는 자본주의 자체를 위협할 만하다. 이렇게 말한다. 나는 오늘도 희미한 노동을 하였다. 나의 노동은 무엇인가 허무하게 생각하지만, 이 소섥의 농담을 통해서 누군가 이렇게 말해줬고, 문제가 있다고 말해주는 자체가 나에겐 너무 위로가 되었다. 


혼자 여행을 가서 '소설가의 농담'을 읽었다. 여행가서 짧게짧게 읽기 아주 좋은 책이었다. 좋은 공간에서 가볍게 마음편히 읽기에 정말 좋았고, 나의 소중한 시간을 함께해준 '소설가의 책'. 농담이지만, 위로 받았고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녀의 세계 - 사랑한 만큼 상처 주고, 가까운 만큼 원망스러운
김지윤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0p- 엄마도 나도 다 각자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악기인데 조율이 잘 되어 있지 않아 자꾸만 듣기 어려운 아름답지 않은 소리가 나는 것이다. 그러니 조금만 조율하면 된다. 그러면 엄마도 나도 고유한 자기의 소리를 찾고 우리는 공존할 수 있다. (중략) 엄마가 내 엄마가 아닌 여성으로 인생을 살도록 돕기, 내 딸에게 착한 딸이 도기를 강요하지 않기, 딸의 마음을 다 안다는 생각을 버리기... 이런 심리적인 타색 과정들을 '조율'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64p- 딸은 어른이 되어가며 서서히 깨닫는다. 엄마의 말이 모두 진실은 아니며 또한 엄마가 항상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엄마는 딸을 키우며 무수한 메세지를 쏟아내고 딸도 딸 나름대로 '좀 이상한데?'하는 생각이 드는 것은 걸러내기도 한다. 하지만 가랑비에 옷 젖는다고 햇던가. 결국 딸은 일정 부분 엄마의 메세지를 내면화하면서 성잘할 수밖에 없다. 


74p- 인간은 비합리적인 존재다. 이중메세지를 던질 수 밖에 없기도 하다.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은 성장하는 존재이다. 그렇기 떄문에 오늘 우리의 딸들에게는 최대한 이중메세지를 전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고장 난 컨트롤 타워만큼 사람을 진 빠지게 하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 


82p- 상실은 어떤 의미에서는 다른 측면의 '득'을 의미하기도 한다. (중략) 상실은 완료된 어떤 상태가 아니라 삶의 한 부분이요 과정인 것을 예전엔 미처 몰랐다. 이처럼 상실의 양면을 깨닫게 된 이후에는 상실을 맨홀에 빠지는 것과 같은 상황이라고만 느끼지 않게 되었다. (중략) 그리고 이런 생각도 든다. 이토록 크나큰 상실감을 안겨줄 만큼 나를 사랑해준 소중한 존재가 내 인생에 존재했다는 그 사실이 더 중요한 일이 아닐까. 사랑이 남기는 여운은 상실보다 더 크니까 말이다.


97p- 장남도 물론 힘든 장남만의 삶을 살지만 장녀와 다른 점이 있다. 바로 장남의 희생에는 대우와 보상이 따라오지만 장녀의 희생은 당연시되고 보상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그러니 장녀로 살아온 엄마들은 참으로 위로받아 마땅하다. 


147p- 엄마는 엄마이기 이전에 한 개인이고 자신의 몸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주체적인 여성이거늘 난 그 여성을 엄마의 자리로 끌어내려 호되게 질책하고 있었던 것이다. 생각이 그렇게 정리되자 모유 반 분유 반에 대한 질문은 의미가 없어졌다. 


책을 읽으며 울기도 울고 고개를 참 많이 끄덕였던 것 같다. 나 또한 K-장녀로써 살면서 들어본 말들이 책에 몽땅 써져 있기 때문이다. 비록 나는 엄마가 큰 사랑을 주었고, 엄마도 엄마가 처음이기에 실수하는 것도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엄마가 주체적인 여성으로 살았으면 하는 마음이 들지만 여전히 이해가 되지 않은 것들이 너무너무 많다. 책을 읽으며 K-장녀로 살며, 엄마의 말들에 너무 많은 영향을 받은 내가 위로 받고 이해 받으며 힐링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엄마와 심리적 거리감을 두며 엄마는 엄마의 삶으로, 그저 엄마의 삶을 응원하며 사랑하만 하고 살고 싶다.


*  은행나무로 부터 도서를 지원받으며,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으로 사는 일은 하나의 문제입니다 - 정치적 동물의 길
김영민 지음 / 어크로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으며 아무리 열심히 벌어도 의식주가 해결되지 않은 세상에 살면서 삶이 참 허무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가제본이지만, 책을 읽으면서 아, 내가 하는 고민이 정상이구나 싶었다. 

 

정치란, 내게는 가까이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 했다. 그리고 정치는 비리, 싸움 등과 같은 단어들 밖에 떠오르지 않았다. 하지만 책에서는 인간은 정치적인 인간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현실에 치여 정치는 사치가 되고, 이러한 현실에 애를 낳는 다는 것 또한 맞는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데, 정말 많은 공감을 하였다. 그렇다면 정치는 사치로 느껴지는 바쁜 현대인으로써 나는 정치적 인간으로써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생각 하게 된다.

 

"삶이 쉽지 않은 또 다른 이유는 타인과 더불어 살아야 하는 게 인생이라는 데 있다. 타인과 함께하지 않고는 의식주 어느 것도 제대로 해결할 수 없다. 이 사회에서 책임 있는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가능한 무임승차자가 되지 않으면서 자신의 생존을 도모해낸다는 뜻이다. 인간은 타인과 함께하지 않고는 도저히 살어남을 수 없는다 존재. 혹은 타인과 더불어 살 때에야 비로소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는 존재다. 즉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

 

대선을 앞두고 도대체 어떤 사람을 뽑아야 하나, 앞이 깜깜하고 답답한 마음만 들었는데 김영민 교수님은 마지막 저자의 말에서 이렇게 말한다. "특정 정치인에 대해 열광하는 마음은 식고 그에 대해 생각해보려는 마음이 뜨거워지기를. 천천히 침구를 정리하고 투표장으로 걸어가기를. 다음번 대통령이 누가 될지 궁금해서 역술원을 찾아가기보다는 서점이나 도서관을 찾아가기를. 책을 열정적으로 읽는 나머지 당이 떨어져 결국 디저트 가게에 들르게 되기를."

많은 사람들이 사람들이 다음번 대통령에 대한 마음이 답답할 것 같다. 그렇지만 교수님 말씀 처럼 잠잠히 인간으로 사는 일은 하나의 문제입니다를 통해서 잠잠히 생각해보려는 마음이 뜨거워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녀의 세계 - 사랑한 만큼 상처 주고, 가까운 만큼 원망스러운
김지윤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생 시절, 연애를 해본 적 없는 나는 남친 겸 남편을 찾기 위해 김지윤 작가님 책을 몽땅 읽었다. 그러고 얻은 나의 첫남친이자 마지막 남친 그리고 현 남편. 유쾌하고 재미있는 김지윤 작가님. 이번엔 엄마다! 제일 소중하면서 속상하게 하는 만드는 것도 엄마인 것 같다. 모녀의 세계 기대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