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동에 대한 새로운 철학
토마스 바셰크 지음, 이재영 옮김 / 열림원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개념화의 함정 - 노동에 대한 새로운 철학을 읽고
대부분의 인문학 서적이나, 철학 서적의 주제에는 항상 '노동'에 관한 문제가 나온다. 비단 현대에만 일어나는 현상이라기 하기에는, 옛 철학자들 중 많은 수가 이 '노동'에 관해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생각하였다. 그 이유는 바로, 인류의 생존과 '노동'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고, 이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든, 부정적으로 보든, 결국엔 죽는 날 까지 함께 할 수 밖에 없는 것 이기 때문이다. 결국 인간은 제 살을 파 먹을 순 없고, '일'을 통해서 무언가를 생산 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존재 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보통 '노동'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애초에 '노동'이란 단어의 어감 조차, 밝고 긍정적이긴 보단, 어둡고 부ㅈ어적으로 느껴진다. 같은 일을 하더라도 '노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면, 왠지 하기 싫고, 왠지 힘들고 성가신 일 처럼 느껴진다. 실제로, 예전 산업 사회만 해도 '노동'이 삶에서 가장 우선시 된 가치였는데에 비해서, 지금은 '노동' 보다는, 보다 인간적이고, 보다 여유로운 '여가'와 같은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실제로 사회도 그런 방향으로 흘러 가고 있다. 우리나라가 '주 5일제'를 실시하는 것만 보더라도, '노동'의 양을 줄이고, '여가'의 양을 늘리자는 취지이니 말이다. 비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이른바 '살기 좋다'라고 말하는 유럽의 많은 복지 국가들도, 결국은 이런 '살기 좋다'라는 의미가, 주 평균 노동 시간이 다른 나라에 비해 적으면서도, 여유로운 생활을 누린다는 것 인 만큼, 세계는 '노동'을 줄이는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고 있다.
이 책은 '노동'에 대한, 이런 일반적인 관념에 맞서, '노동'의 좀 더 본질적인 가치에 대해 말하며, 긍정적인 면에 대해서 말해 주고 있다. 이에 있어서, 단순히 인간은 필연적으로 노동을 할 수 밖에 없는 존재라며, 구세대 적인 논거로 말하고 있지 않다. 여러 얘기들이 나오지만, 이 책의 핵심은, '좋은 노동'을 하라는 것 이다. 여기서 좋은 노동 이라는 것은, 노동이 주는 좋은 이점들을 충분히 활용하면서도, 한편으론 그것이 돈 벌이가 되면서도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만드는 것 이다. 하지만 논거가 여기서 머문다면, 결국 이 책의 내용도 이제까지 주장해오던 것에서, 조금 더 나아가긴 했지만, 결국엔 제자리를 맴돌 수 밖에 없을 테다. 책에서 '좋은노동'을 강조하면서, 노동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으로 무장 되어 있는 우리에게 가하는 비판은, 바로 '개념화의 함정' 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노동'과 '여가'라는 말을 마치 대립되는 단어 인 마냥 생각하고 있다. 또한 '일'과 '삶'에 대해서도, 늘 균형을 맞춰야 한다며, 마치 두 개의 단어가 완전히 반대의 단어인 마냥 여기고 있다. 하지만 바로 이것이, 저자가 그토록 비판하고 지적하는, '개념화의 함정'이 아닐까 싶다. 책에서 나오는 것 처럼,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 인간은 그저 먹고 살기 위해, 사냥와 채집생활을 해 왔고, 시간이 지나서는 농사를 지어왔다. 이들에게는 노동과 여가의 구분이 따로 필요가 없었다. 그냥 굶어 죽지 않기 위해서는 사냥을 하거나 농사를 지어야 했고, 일 자체가 곧 삶 이었다. 이들은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사냥이나 농사를 단순히 '노동'이나 '일'로 치부하기에는, 이들에게 이런 행위는 '생존'을 위해서 해야하는 필수적인 것 이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와서는, 우리 인간은 '노동'과 '여가'를 굳이 각자 개념화 하려 하였고, '일'과 '삶' 또한 계속해서 개념화를 하려 하였다. 그러다 보니, 어쩌면 아주 먼 옛날부터 계속해서 이어지던 것들 조차, 각기 개념화가 되면서 구분지어 졌고,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이미지들이 투영되기 시작했다. 그러다 보니, '노동'의 순수한 가치가 점점 훼손 되기 시작했다. 무척이나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여겼던 행위가, 갑자기 부정적이고, 하기 싫은 것으로 되버린 것 이다. 만약에 인류가 이렇게 개념화를 지은 덕에, 정말 노동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다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럼에도 인간은 필연적으로 노동을 해야 하는 존재이기에, 결국은 어차피 해야하는 것에 대해서, 오히려 부정적인 이미지를 투영해서 '하기 싫은 것'으로 만들어 버린 셈 이다. 이게 바로 내가 생각하는, '좋은 노동'을 주장하는 이 책의 핵심 논거이다.
사실 나는 '노동'에 대해서 무척 부정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애초에 공대생임에도 취업할 생각이 없어서 계속 딴 짓을 하고, 딴 길을 알아보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 일 것 이다. 결국 노동을 한다는 것은, '사회'가 원하는 일을 하는 것이고, 그것은 내가 원하는 일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이다. 노동에 참여하는 순간, 이런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우리는, 모든 일들을 '돈 되는 일'과 '돈 안되는 일'로 나누게 되고, 결국 '돈 안되는 일'들은 모두 가치 없는 일 인 마냥 여기게 되니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그랬던 나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시 해 주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라는 그럴듯한 말로 현혹하는 게 아닌, '노동'의 순수한 가치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고, 무엇보다, 내가 이제까지 '개념화의 함정'에 빠져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사실 노동은 오래전부터 우리 인류와 함께 해 왔다. 그리고 예전이나 지금이나, 그 형태나 방법만 바뀌었을 뿐, 노동은 여전히 우리의 삶에 필연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요소이다. 그럼에도 현대에 들어와서야, 인류는 이런 노동을 굳이 개념화 하고, 삶과 여가라는 긍정적인 것들과 대립되는 이미지를 덮어 씌운 것 이다. 노동 자체는 가만히 있는데, 우리 인간이 개념화하고, 대립 시키면서, 난리를 피운 것 이다.
결국 노동 자체는 나쁜 것도,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다. 내가 하는 모든 것이 '노동'이 될 수 있고, 무엇보다, 어쩌면 나의 '꿈' 역시, 결국은 노동을 수반할 수 밖에 없는 것 일지도 모르겠다. '작가'에게는 '글쓰기'가 노동이 될 수 있으니 말이다. 중요한 건, '노동' 자체의 좋고 나쁨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돈', 즉 '자본'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게 아닐까 싶다. 노동을 좋은 노동과 나쁜 노동으로 나눈 것도, 노동은 힘든 것이라는 인식을 갖게 한 것도, 여가와 노동을 나눈 것도, 결국은 '돈'이 개입되면서 일어난 일이 아닐까 싶다. 농작물을 돈을 주고 팔기 전의 시대만 하더라도 농사가 굳이 노동으로 여겨지지 않고 그 순수한 가치를 가지고 있었던 걸 생각하면, 문제는 '노동'이 아닌, '자본주의가 개입한 노동' 일 것 이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것은, '돈'이 개입하지 않는, 순수한 '노동' 그 자체 이다.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실현되기 힘든 일이긴 하지만, '돈'에 연연하지 않고 그 일을 열심히 할 수 있을 때, 그것이 바로 이 책에 얘기하는 '좋은 노동'이 되는게 아닐까. 그리고 이렇게 '좋은노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사회 역시 이런 '좋은 노동'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노동'은 더 이상 부정적인 이미지로 자리잡고 있을 필요가 없어질 것 이다. 이게 바로,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삶의 방향이자, 사회의 방향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