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로의 초대
호르스트 푸어만 지음, 안인희 옮김 / 이마고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은 1980년 처음 출판된 이후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단순한 소설이라고 보긴 힘든, 아니 오히려 그의 글 대다수가 그렇듯 난해함으로 무장한 이 책이 그토록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 질문에 정통한 대답을 찾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 책이 중세를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흔히 암흑의 시대로 이야기되고 있는 중세는 지금까지도 그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 끈질긴 생명력만큼 우리가 중세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진 못하다. 르네상스를 앞두고 있는 그 시대가 지독히 신 중심적이었다는 것 외에는 말이다. 이 책은 그러한 시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단순히 그리워하는 것을 뛰어넘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저자의 생각을 위해 쓰여진 책임을 증명이라도 하듯, 꽤나 두꺼운 분량을 할애해 적어나간 이야기들은 실로 자세하고 또 흥미로웠다.

현대처럼 의학 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중세의 사람들은 길어야 30여 년의 삶을 살았다는 사실을 읽으면서 중세에 태어나지 않은 것만으로도 나에겐 큰 행운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암묵적으로 행해지던 여아 살해를 통한 성비 조절 부분을 읽으면서 남성을 중시하는 사고방식은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 같은 마음에 씁쓸함을 금할 수 없었다. 어쩌면 이는 여성을 제 2의 성으로 취급하는 교회가 중심에 놓인 사회로서는 당연한 처사였을 텐데도 말이다. 하지만 이는 오늘날의 사회가 중세로부터 꽤 많은 부분을 이어받았음을 증명해 보이는 극히 작은 부분에 해당한다. 근대적 의미의 유치원과는 다소 차이가 있긴 했으나, 중세의 어린이들은 일정 정도 나이가 되면 교회에 봉헌되었다. 그곳에서의 삶은 어린 아이가 견디기에는 엄격했으나, 자신의 삶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신을 향한 경건함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었기 때문에 그리고 아이들이 일상적인 굶주림으로부터 조금이나마 자유로울 수 있었기 때문에 많은 부모들이 선호했던 방식인 듯 싶다.

무엇보다도 흥미로웠던 것은 권력과 관련된 부분이었다. 물론 중세의 권력은 교황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권력은 황제권의 적지 않은 도전에도 불구하고 베드로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성스러움으로 인하여 보호될 수 있었다. 물론 교황 역시 한 개인으로서 죽음 이후에는 평범한 인간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었지만, 교황이라는 그들의 직위는 그들의 범죄조차도 용인할 수 있을 정도로 그들에게 성스러움을 부과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성스러움도 결국은 지상에서의 권력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이었기 때문에, 몇몇 교황들은 전임자 살해의 의욕을 짊어진 것을 보면, 교황의 선출을 놓고는 적지 않은 갈등이 존재했던 듯 하다. 위조와 관련된 부분 역시 흥미롭다. 많은 위조들이 성직자들에 의해 행해졌으며, 이는 신의 영예로움을 찬양하기 위해 행해졌기에 성스러운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고 한다. 이렇게 행해진 위조는 중세와 관련된 기록의 2/3를 차지할 정도라고 하니, 위조를 통해서라도 신의 완벽성을 찬양하려 들던 중세 인들의 사고방식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짐작할만하다.

너무 광범위한 부분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뒷부분으로 갈수록 지루해지는 감도 없진 않다. 하지만 1000년 가량 지속된 중세를 이해하는 것은 오늘날 우리를 이해하는 것과 동떨어진 작업이 아니다. 오늘날 우리는 중세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경제적 풍요와 물질 문명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성공해야만 한다는 강박관념과 강렬한 경쟁에 익숙해져 자기 자신의 존재에 대해 더 이상 질문치 않는다. 오늘날 우리의 삶은 비즈니스이지만 당시(=중세)의 삶은 존재였다.라는 부르크하르트의 말은 그런 점에서 우리에게 많은 점을 생각하게 해준다고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