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의 복수 - 자본주의의 부활과 국가사회주의의 죽음
메그나드 데사이 지음, 김종원 옮김 / 아침이슬 / 2003년 4월
평점 :
절판


누구의 잘못이었던 것일까? 20세기를 뜨겁게 달구었던, 인류에게 희망으로 불리우곤 했던 사회주의에 대한 불씨는 어느 순간 확 꺼져버리고 말았다. 거스를 수 없는 운명과도 같이 여겨지던 마르크스의 예언은 더 이상 어떠한 가치도 지니지 않은 것처럼 여겨지고 있으며, 자본주의라는 단 하나의 현존하는 체제를 더욱 굳건히 하기 위한 조치들이 자행되고 있다. 빈익빈 부익부 현상의 극대화, 국경을 초월한 거대 자본의 출현 속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소외를 경험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에게 희망은 없는 것 같다. 마르크스는 이미 죽었고, 죽은 이의 이름을 들먹이는 것만큼 경망스런 행위도 없을 테니 말이다. 하지만 지난 역사 속에 출현했던 것이 정말 사회주의였을까? 마르크스가 이상적이라며 찬양해 마지 않던 그 사회가 그토록 억압적이고 폭력적이었는지. 언젠가부턴가 사람들은 이에 대해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아마도 케인스의 유령이 더 이상 세계를 방황하지 않게 되면서부터였던 것 같다. 아마도 하이예크의 이름이 자본가들에 의해 칭송되기 시작하면서부터가 아닐까 싶다.

마르크스는 변증법적 유물론을 따라 인류의 역사 전 과정을 분석하는 통찰력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사회는 사회 안에 내재된 모순으로 인하여 무너질 수 밖에 없었고, 새로이 도래한 사회 역시 내재적 모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모든 사회는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이원론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구조적 틀은 자본주의를 분석하는데도 여지없이 이용되었다. 자본의 유무에 따른 자본가와 프롤레타리아트의 구분. 이 모순의 극대화는 궁극적으로 자본주의의 해체를 가져올 것이며, 그로 인해 사회주의가 도래할 것이라는 암시를 마르크스는 남겼다. 하지만 그는 자본주의를 넘어 사회주의로 가는 것이 현 인류에게 가능한지, 더 나아가 사회주의가 도대체 어떤 사회인지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 자신이 없었던 것일까? 어쩌면 그랬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그는 새로이 도래할 사회주의를 이야기하기 보다는 현존하는 자본주의를 분석하는데 모든 열정을 쏟아 부었다. 더 나아가 그는 사회주의가 코 앞에 닥친 듯 이른 희망이 쩔어(-_-) 사는 이들을 향해 날카로운 비난을 던져댔다. 하지만 그런 그의 태도에도 불구하고, 그는 하나의 신으로 추앙되고야 말았다. 거스를 수 없는 운명. 마르크시즘은 그렇게 탄생했고, 너무도 많은 이들이 마르크스의 이름을 걸고 엄청난 범죄들을 감행했다. 그들은 마르크스의 예언을 추종하는데 급급한 나머지 그 내용을 확인조차 하지 않았던 것 같다. 자본주의는 충분히 발달치 않았고 사회주의가 도래할 정도로 모순으로 가득 차지도 않았었건만, 마르크시즘에 도취한 이들은 무리해서 마르크스의 이론을 현실화하려 들었다. 하지만 그렇게 탄생한 사회주의는 사회주의라 부를 수 없는 것이었다. 모든 권력은 중앙에 집중되었고, 순간적인 발전은 이룩했을지 모르겠으나 그 사회는 지독히도 경직된, 자유라곤 존재치 않는 형태를 띠었다. 그 점에 있어서는 소련, 중국 모두 동일했다. 레닌주의, 스탈린주의, 모택동주의 너무도 많은 -ism 이 난무했고, 그 외의 것들은 모두 배척되었다. 고인 물이 썩는 이치만큼이나 그 사회는 부패할 수 밖에 없었고, 그랬기에 로자 룩셈부르크는 그토록 치를 떨어야만 했던 걸지도 모르겠다.

애덤 스미스에서부터 시작하는 여행은 실로 대장정이었다. 마르크스가 인류의 역사 모두를 분석한 것에 비견할 정도로 저자는 경제학의 모든 순간을 분석하고 있었고, 그 여행을 따라가기에 급급했던 나는 수시로 얼굴을 타고 흐르는 땀을 닦느라 분주했다. 역사의 과정에서 나타났던 수많은 경제학 이론 중 어느 것 하나 마르크스의 이론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것은 없었던 것 같다. 개개인의 합리성이 전체 사회의 합리성으로 이어지리라는 애덤 스미스의 믿음에 마르크스는 반기를 들었다. 많은 마르크스의 추종자들에게 위기에 빠진 세계를 구출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으로 이야기되어지던 케인스주의도 조차도 어떻게 보면 좌파 엘리트들의 학문에 불과했다. 마르크스의 뒤를 따르려던 어설픈 시도들은 모두 실패했다. 허망해하는 인류의 모습을 보며 마르크스는 지금쯤 어딘가에서 웃고 있지 않을까 싶다. 그것은 처음부터 잘못 끼워진 단추였고, 실패할 수 밖에 없는 시도였음을.

지난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이 효과적이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새로운 자본의 창출로 이어지진 못함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에 비해 현재의 인류는 많은 부분 진보를 이룩했다는 점에 대해 동의치 않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과거에 비해 분명 절대적 빈곤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부는 어느 한곳에 집중되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듯하다. 절대 강자인 것 같기만 한 자본주의는 서서히 균열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 균열이 현존하는 모든 질서의 붕괴로 이어지기까지는 얼마나 오랜 시간이 필요한지 우린 말할 수 없다. 어쩌면 마르크스가 볼 때 자본주의는 이제 새로이 시작하는 질서일지도 모른다. 사회주의를 꿈꾸기엔 어쩌면 너무도 이른 시점일지도 모른다. 전혀 알지 못하는 사회, 한 번의 실패 이후 상상하기 두려워지는 사회. 마르크스의 이름을 걸고 자행된 무시무시한 범죄 때문에 우리는 그 사회를 이야기하길 주저한다. 하지만 마르크스는 사회주의에 대해 말하지 말라고 하지 않았다. 그는 사회주의에 대해 꿈꾸면 안 된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 지난 역사 속에서 우리가 만났던 것은 사회주의가 아니었다. 그것은 사회주의를 위시한 하나의 전체주의였음을 우린 기억해야 할 것이다.

지난 역사는 -주의에 대한 맹목적인 신봉이 낳은 비극이었다. 정작 마르크스 자신은 마르크시스트가 아니었노라고 말하지 않았던가. 어떤 면에서 우리는 지난 날을 살아간 이들에 비해 행운아이다. 우리에겐 마르크스의 사상을 이야기하고 비판할 수 있는 자유가 있으니 말이다. 그 자유를 토대로 나는 어설프게나마 마르크스에 대해 생각해보기 시작했다. 마르크시스트가 아닌 한 명의 좌파로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