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이론과 좀비
대니얼 W. 드레즈너 지음, 유지연 옮김 / 어젠다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에 정치이야기라면 질색하는 내가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제목에 좀비가 들어간다는 이유 하나였다.

정치라는 머리아픈 주제가 내가 좋아하는 좀비라는 대상과 만나 어떤 이야기를 펼칠지 호기심이 일었다.

 

문명이 발달하고 국제적인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바이러스나 전염성이 강한 질병들의 교류(?) 또한 활발해졌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나라에서 발병을 했다해도 그나라와 교류가 있다면 결코 그 질병으로부터 안전지대가 될수 없다.

좀비바이러스 또한 마찬가지다. 치사율 100%에 죽은뒤에도 다시 살아나 사람을 공격하고 감염시키고,  죽이는 방법이라곤 뇌를 파괴하는것뿐인 이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현실에서 일어난다면 국제정치에는어떤일이 생길 것인가?

 

이 책에서는 여러 국제관계학 이론을 좀비사태에 적용하고 그에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런 전문적인 이야기가 나오면 잠시 정신이 안드로메다로 날라가려다가 내가 즐겨보던 좀비영화나 좀비문학을 예로 들어 설명을 하고 있어서 책에 좀더 집중이 되고 조금은 이해하기가 쉬웠다.

 

이 책에서는 좀비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좀비를 대신해 조류독감이나 얼마전 전세계를 긴장시켰던 신종플루, 혹은 나날이 진화하고 있는 미지의 바이러스들로 바꿔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몇년전 발생했던 구제역이 생각났다. 초기진압에 실패해서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입었고 수많은 동물들이 살 처분되었다. 사태가 길어지자 정부는 국민들에게 원성을 샀고 증명되지 않은 루머가 떠돌았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이 대상이 돼지나 소가 아닌 인간이 되자말란 법은 없다. 그게 좀비바이러스던 진화된 신종바이러스던.... 초기진압에 실패해서 사태가 걷잡을수 없는 상황이 온다면 극단적인 조치로 의심환자들을 무조건 처분되어지는 끔찍한 상황이 올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분량도 많지 않고 좀비라는 소재를 이용해 국제정치이론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가볍게 풀고 있어서 나같은 초심자들도 흥미롭게 읽을수 있는 책이었다.  앞으론 좀비영화나 바이러스재난영화를 볼때는 이 책이 많이 생각날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