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나야 할 미래 - 스웨덴의 한가운데서 우리가 꿈꾸는 대한민국을 만나다
최연혁 지음 / 쌤앤파커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으면 스웨덴의 정치, 경제, 교육을 포섭하는 생활의 일부분을 알 수 있었다.

독서를 시작하기 전에 스웨덴이 나에게 어떤 나라였더라, 생각해 보았더랬다. 몇 편의 영화를

보았고, 몇 권의 소설을 읽었다. 영화 속의 풍경은 아름다웠던 걸로 기억한다.

영화 자체보다도 집 뒤의 풍경에 반했었다. 호수는 반짝이면서 예뻤고, 커다란 나무는 멋드러

졌다. 우리집을 배경으로 풍경이 저러하다면 매일 매일 산책하게 되지 않을까 했었다.

소설 속의 스웨덴은 어땠냐고? 다른 부분을 발견했었다. , 내가 살고있는 곳이랑 다르구나

했던 걸로 기억한다. 그리고 그 다른 부분을 우리가 만나야 할 미래를 읽으며 발견해나갈

수 있었다. 스웨덴의 모습이 우리가 만나야 할 미래라는 건 아니었다. 다만 스웨덴이라는

모델을 통해서 우리가 만나야 할 미래에 대해 생각해보자는 걸로 이해했고, 그렇게 틀린

대답은 아닐 것으로 짐작한다. 실제로 이 책을 읽으며 우리는 어떤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하는가에 대해서 고민도 했었고, 지금의 우리에게 적합하면서 추구할만큼 멋진 모습은

과연 무엇일까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었다. 그리고 그런 생각을 지속으로

확장해나갈 수 있었던 건, 역시 이 책을 통해서 스웨덴의 현실에 대해 업데이트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리라.

일단 이 책을 통해서 본 스웨덴은 멋진 구석이 무척 많은 나라였다. 육아로 인해서 총리직을

거절하는 사람이 있었고, 자신은 그 그릇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에 그 자리를 반려한

이도 있었다. 이 자체가 너무나도 신선하고 놀라웠다. 국회위원의 지위와 처우에 대해서도

이 책을 통해 꽤 자세하게 알수 있었는데, 일이 너무 많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임금은

적은 편이라 1회적으로 그 임기를 채우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너무나도 낯선 풍경이었다.

국회의원들은 공부를 했고, 엄격하게 세비를 정산했으며 그에 맞게 처신하고 그에 맞는

시선과 감시를 감당하고 있었다. 그리고 또 멋있었던 부분은 교육. 이 나라에서 사람들은

참 좋은 질의 교육을 누구나 받을 수 있었다. 일단 금전적인 진입장벽같은 게 없었다.

일자리를 잃더라도 갑자기 진로를 바꾸게 되는 일이 있더라도 사람들이 침착할 수 있는

건 이 교육의 힘이 크지 않았을까? 다시 시작하면 되니까. 제대로 교육받고 다시 새롭게

시작할 수 있으니까.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내 나라가 도와줄테니까. 그게 너무나 멋져서

이 나라 참 좋은 환경이구나 생각했더랬다. 기술자가 그에 적합한 처우를 받고, 그 직업에

제대로 만족하고 있다는 점도 좋아보였다. 파업이 있더라도 사람들이 수긍하고 기다려주는

것도...역시 지금 내가 살아가고 있는 곳과 다른 부분들이 주로 다루어지고 있었고, 그런

부분들에 특히 시선이 많이 갔다. 하지만 제일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이것이었다.

이 나라에도 위기가 있었다. 파업 중에 총기사용으로 인명사상이 있었고, 스웨덴에서

시작한 거대한 기업이 본사를 이전하는 일도 있었다. 그런 사안에 대처하는 방안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합의를 이끌어내고 소통하고 교섭한다는 것, 그게 가능할만큼 서로에 대한

신뢰가 있다는 게 대단해보였다. 선진국이라는 게 쉬운 단어가 아니구나, 이 부분을

읽으며 절감했었던 것 같다. , 이 책을 읽고나서 우리는 저 유형을 따라가야 한다고

생각했던 건 아니다. 그럴 수도 없고, 그래서도 안 되니까. 다만 소통하고 교섭하고,

서로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것만큼은 꼭 따라해주었으면 좋겠다 싶었다. 그것만큼은

말이다. 그 다음에 하나하나 실현해 나가면 되는 것이다. 우리에게 맞는, 우리에게

어울리는 방안을 찾아내고 현실화하면 되지 않을까. 그러면 우리가 만나야 할 미래를

찾아내면 되는거다. 느낀 게 많았고, 생각한 것은 더 많았고, 머리는 좀 더 복잡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