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김학진⠀
📚 갈매나무⠀



“타인의 시선과 내 몸의 신호 사이에서 ⠀
분투하는 뇌를 이해하여 삶의 균형을 찾는 법”⠀



🖋⠀

자존감과 관련된 자기계발서는 정말 많이 보기도 했고, 시중에도 많이 나와있습니다. 이 책은 다른 방향으로 접근한 것이 자존감이 생기게 되는 원리와 근원을 뇌과학을 통해 밝히려고 했다는 것이었습니다.⠀

뇌관련된 용어들이 처음 접해봐서 어렵기는 했어도, 의외로 뇌와 호르몬의 작용들이 자존감이나 자기감을 설계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었습니다.⠀

「내가 생존하기 위해 환경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는 느낌을 ‘자기감’이라고 한다. 이 문장을 ‘환경’ 대신 사회적 환경, 즉 ’타인‘으로 바꿔 읽으면 그게 바로 ’자존감‘의 개념이다. 내가 자기감을 높이기 위해 환경을 바꾸려 하거나 세상에 거는 기대를 조정하듯이,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타인을 바꾸려 하거나 타인에 거는 기대를 조정한다. 하지만 조정이 미흡하거나 과도하면 자존감은 불균형 상태에 빠질 것이다. -책중에서」⠀



🤯⠀

이책에서는 신체의 항상성 유지를 중요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영양분이 부족하면 뇌는 호르몬을 분비해 배고픔을 느끼게 하고 먹을 것을 먹음으로써 신체의 불균형에 대응합니다. 그러나 점차 외부 환경에서 자극을 통해(먹을 것을 시각적으로 보이게 하거나, 냄새를 맡거나,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하는 등) 신체의 항상성의 불균형(영양부족)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려는 메커니즘을 보이며 이런 일련의 메커니즘을 알로스테시스라고 합니다.⠀

「가장 좋은 대책은 예방이라고 하듯이, 신체 항상성이 깨지기 전에 미리 짐작하고 방지하는 능동적 대응이 필요하다. 이처럼 신체 항상성 불균형이 발생하기 전에 이를 예측하고 능동적으로 외부 환경을 활용하여 예방하려는, 유기체 전체의 전략적인 신체 항상성 유지 방식을 알로스테시스라고 한다. 알로스테시스는 생리적 또는 행동적 변화를 통해 안정성이나 항상성을 달성하는 생물학적 과정으로, 유기체가 단지 미리 정해진 설정값에 따라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항상성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책중에서-」 ⠀

우리의 모든 행동들은 이런 항상성 유지와 관련이 있으며, 외부 환경과 내부 신체의 끊임없는 불균형 해지를 위한 상호 작용이라는 틀에서 설명하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

「 일생 동안 내 모든 행동은 신체를 세상이라는 외부 환경에 끼워 맞추는 과정의 반복이며, 자기는 이 과정을 통해 생성되고 변화한다. 이 자기를 규정하는 외부 환경의 제약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내부 신체의 요구 신호가 과도할 때 불균형은 발생한다.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강한 욕구와 인정받기 어려운 조건이 만났을 때, 안정된 균형점으로부터 멀어진 이러한 순간이 자존감 불균형 상태인 셈이다. - 책중에서 -」 ⠀



☁️⠀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인문학과 자기계발의 일부분으로 머물러있던 ‘자존감’을 뇌과학, 즉 자연과학으로 확장하여 설명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해하기에 다소 난해한 용어들과 과학적 내용들이 많아 읽으면서도 이해가 가지않아 몇번을 다시 읽기도 했지만, ‘자존감’을 이렇게 뇌의 활동과 자연과학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상위 단계의 욕구는 나 자신을 온전한 형태로 세상에 드러내는 것일 텐데 이는 자기감과 더 관련 될 것이다. 즉 내가 도달할 수 있는 최상의 목표는 나와 세상과의 관계를 온전하게 확립하는 것이라는 말이다. 나의 욕구가 세상의 흐름과 어긋나지 않는 상태, 이 둘이 서로 거스르지 않고 물 흐르듯 어우러져가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이런 상태에 도달하는 데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야말로 다름 아닌 ‘자기 감정 인식’이다. -책중에서-」⠀



🖋⠀

맺는 말에서 논어의 「종심소욕불유구」 , “마음에 하고 싶은 대로 해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다.”가 생각났습니다. 자기 감정을 정확하게 아는 것, 즉 외부 환경의 요구와 내부 신체의 목소리에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가는게 아닌가 생각해 봤습니다.⠀

뇌과학에 관심있으신 분들이 읽으면 재미있을 것 같아 추천드립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