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현실 너머 편 (반양장) -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신비 편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2
채사장 지음 / 한빛비즈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중고등 학교 시절에도 시험 때만 되면 잘 정리된 요약(summary) 노트나 참고서의 요약정리 부분을 즐겨 봤던 기억이 난다. 

인문서의 중요성이 대체 무엇인지 알지도, 알 수도 없는 환경에서 대학 시절부터 노상 '인문학을 공부해라'는 소리만 들었으니 그 반발심이 더 강해진 것은 두말이 필요없다. 책 읽을 시간도 없이 청소년 시절을 보냈는데 대학에 들어간 후 놀기 바쁜 와중에 인문서가 왠말이냐를 외쳤던 것도 나무랄 수 없는 우리 현실 아닌가.

발행 초부터 초고속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지대넓얕>에 대한 호기심이 인 것은 당연지사. 고로 읽어 봤다. 어땠냐고 묻는다면 '영리한 저자와 눈 밝은 출판사'의 합작품이라 하겠다.

누가 그 방대하고 다양한 학문의 발전사와 주요 사건, 업적, 인물, 이론을 요약/정리해서 알려주겠는가. 누가 그 많은 책으로 혼자 독학하며 인문학을 파고 들겠는가.

하지만 사회 현상을 이해하고, 인간사를 두루 살피는 일은 살아가면서 피할 수 없는 일. 이왕 사는 인생인데 남들 아는 만큼은 이해하고 살자 싶어도 도대체 방법을 모르거나 포기하거나 그냥 아는 만큼만 살아 왔는데, '과연 내가 배운 지식이 어느 뿌리에서 나온 줄기인가'를 이 책에서 명쾌하게, 어렵지 않게 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독서의 보람을 느낀다.

 

뭐 저자가 이미 밝혔듯이 수박 겉핥기식(간단히 표현하면) 지식정도가 들어 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요약'이란 그 정도면 충분한거 아닌가. 시험 문제 풀이나 시험준비 공부를 구구절절 하는 것은 각자 할 일이고, 내가 배운 것, 공부하다 빠트린 것을 다시 체크하는 것이 '요약문'의 역할이니 이 책 <지대넓얕>은 임무를 충실히 이행한 셈이라고 생각한다.

 

대개 이런 책들이 너무 러프하게 쓰여졌거나 문장이 어지러워 읽는 맛이 안날 가능성이 높은데 이 책은 저자 나름의 이해와 분석을 기반으로 독자 수준에 맞는 비유와 비교를 담아 재치있게 잘 써낸 것 같아 그 부분을 칭찬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