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에서 영성으로
이어령 지음 / 열림원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에서 느낀 것들을 말하기 전에 우선 출판사에 대한 원성부터 적어야겠다.   

이어령 선생이라는 걸출한 저자를 모신것에 분명 즐거워했을 출판사가 수많은 오/탈자를 그대로 찍어 낸 것은 직무유기이며 저자와 독자에게 모두에게 잘못한 일이라 생각한다. 교정을 본 것인지 조차 의심스러울 정도로 문맥에 맞지 않는 조사를 걸러내지 못한 것은 물론 문법에 어긋난 문장을 그대로 담고(저자의 실수가 아닐 것으로 생각한다), 수도 없이 되풀이되는 오자와 탈자들이 글이 주는 감동을 다 깎아먹을 정도다. 부디 정신차리고 책 편집에 집중해주길 바란다. 

 우리시대 지성으로 꼽히는 이어령 선생이 70이 넘은 나이에 기독교로 귀의한 내용은 그 일 자체로도 기독교인, 비기독교인들에게 관심을 받을 만한 사건이었다. 여러 매체에서 간헐적으로 접한 내용으로 짐작했을 때는 분명 무언가 개인적인 체험이 있긴 하지만 지면에 나타나는 간증으로는 왠지 포장된 느낌이 있다는 생각이었다. 그의 글은 너무 훌륭했고 심지어 다른이의 글로 표현된 그의 생각과 개심의 이유 조차 번듯하다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책에 드러난(비록 편집에서의 실수들로 활자를 보는 눈이 피곤하긴 했지만) 노학자의 진심어린 고백은 기독교인이라고 말하면서도 실생활에서는 진정한 크리스천으로서의 삶을 살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들에게, 또 철학적으로나 이성적으로 '종교'에 대해 회의를 품고 있는 사람들에게 분명 어떤 울림을 건낼 만 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예술을 신봉하고 이성적으로 사물을 분석하고, 저자 자신이 예술가로서의 삶을 살았지만 인간이 결국은 누구나 혼자라는 '고독감'이 평생의 짐이고 의문이라는 것을 그의 생각의 흔적을 따라가며 짐작할 수 있다. 짐작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보편의 감정인 그 고독을 문장 속에서 절실히 공감하게 된다.  

이성으로는,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영적인 세계의 권위와 그것을 주관하는 창조주에 대한 경의와 신뢰가 비기독교인에서(저자의 표현대로라면 '미未기독교인')에서 기독교인으로 변화된 어느 노학자의 고백을 통해 드러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