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눈에는 희망만 보였다 - 장애를 축복으로 만든 사람 강영우 박사 유고작
강영우 지음 / 두란노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강영우 박사는 이 책이 출판된 후 곧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생각해 보면 살아가면서 얼마나 힘들고 암담한 순간이 많았을까?

어찌 강영우 박사의 눈에 희망만 보였겠는가?

상심하고 좌절한 때가 왜 없었겠는가?

어찌 눈앞이 캄캄할 정도로 절망스러운 때가 없었겠는가?

그러나 그 분은 내 눈에는 희망만 보였다고 고백한다.

 

책 표지에 소개되어 있듯이 강영우 박사는 장애를 축복으로 만들었다.

그 분은 지나온 삶을 돌아보면서 장애는 인생의 걸림돌이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장애가 인생의 장애물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었다고 회상한다.

 

암에 걸려 죽음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

그 분은 지나온 삶을 감사함으로 받아들인다.

시각 장애인으로 살아온 모든 것이 축복이라고 말하며 행복하다고 고백한다.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자기가 본 희망을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그래서 이 책이 세상에 나왔다.

 

강영우 박사의 다른 저서나 강의를 읽거나 들은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곳곳에서 발견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 책의 중요성을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리어 그 분이 들려주고 싶어 하는

가장 중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는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특별한 책이다.

 

덤으로 우리는 이 책 2장에서 강영우 박사가 소개하는

장애를 축복으로 만든 다양한 사람들의 아름다운 삶을 만날 수 있다.

그 분들이 보여준 삶을 읽다가 보면

장애물을 극복하는 데는 참 여러 가지 길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강영우 박사의 삶을 보여주는 단어가 ‘장애’라면,

그 장애를 축복으로 만든 단어는 무엇일까?

그 분이 들려주는 이야기에서 나는 다음 몇 가지 단어를 주목하게 된다.

 

첫 번째 단어는 ‘믿음’이다.

강영우 박사는 하나님이 한 쪽 문을 닫으시면

반드시 다른 한 쪽 문을 열어주신다는 사실을 경험하였고,

하나님의 인도를 믿었기 때문에 다시 희망을 갖고 달려갈 수 있었다. 그

래서 그 분은 인생에서 진짜 문제는 믿음의 장애라고 한다.

 

두 번째 단어는 ‘사랑’이다.

“앞으로 평생 시각장애인으로 살아야 한다는

사망선고와 같은 소식을 듣고 절망했던

그 옛날” 그를 찾아와 도움을 준 사람들이 있었다.

강영우 박사는 이렇게 말한다.

“이 후의 학비는 하나님께서 보내주신 여러 인간 천사들을 통해 채워주기 시작하였다.”

그 천사 중에 한 분이 항상 옆에서 사랑으로 함께 해 주었으니

 분은 바로 사모님인 석은옥씨다.

 

세 번째 단어는 ‘감사’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은 제목은 “축복받은 삶, 감사합니다”이다.

암에 걸려 죽음을 앞 둔 사람,

강영우 박사는 일생을 회고하면서

아름다운 삶을 살도록 도와준 사람들에게 감사하고 축복한다.

그 분은 에필로그에서 자신의 심경을 이렇게 술회한다.

“나는 지금 담담하게 하나님이 나에게 선물로 주신

나머지 시간에 감사하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루하루를 행복하게 웃으며 지내고 있다.”

 

신앙을 갖지 않은 사람이더라도

큰 거부감없이 읽을 수 있고, 읽어봄직한 책이 아닐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