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플 수도 없는 마흔이다
이의수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내가 벌써 마흔이라니!” 교복을 입고 다니던 고등학교 시절이 어제 같고,
청춘을 구가하던 대학 시절이 어제 같은데
벌써 한참 전의 일이다.
 
모든 청춘들은 예외 없이 그렇게 어느 날 마흔의 나이에 놀라게 된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서 마흔 줄에 들어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실감하게 해 준다.
그렇다고 마흔을 실감만 하고 있기에는 상황이 너무 힘들다.
 

 누구는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하면서 고민하는 청년들을 다독이지만

이 책의 저자는 나이 마흔에 들어서면 아플 수도 없고 아파서도 안 된다고 한다.

마흔은 그만큼 짓누르는 삶의 무게가 버거운 나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한국의 40대가 일반적으로 겪고 있는 삶의 경험을 펼쳐 보인다.

가정에서, 직장에서, 사업장에서 이리저리 치이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책은 40대의 자화상을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저자는 힘들어 하는 40대 가장의 어깨를 다독이며 격려한다.

때로는 그들이 겪게 될 문제를 들려주며 마음을 준비시킨다.

때로는 그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어떻게 헤쳐 나갈 수 있을지 조언해 주기도 한다.

삶의 지혜를 슬쩍 흘려주기도 한다.

열등감의 반대말은 자존감이나 우월감이 아니라 근면성이라고 하면서

근면하면 성취감을 느끼게 되고 열등감을 상쇄시켜 준다고 자기 생각을 들려준다.

 

이 책에는 저자의 경험과 생각과 의견이 들어있다.

그러나 저자는 특강 강사가 말하듯이 말하지 않는다.

저자는 여러 상황에 처한 가상의 40대 인물들을 내세워 그들이 겪어야 하는 삶의 무게를 실감나게 보여준다.

그 중에 어떤 인물은 저자 본인일 경우도 있어서 본인이 겪은 일과 마음을 털어 놓기도 한다.

‘커피 한 잔의 로맨스’라는 제목의 글은

구두 닦으며 생계를 유지하는 가난한 남편과 부인의 이야기를 들려주어

부부의 의미를 생각하게 만든다.

 

저자는 마흔은 노년을 위한 준비의 시간이라고 한다.

서른이 마흔을 형성했듯이

더 나은 쉰을 위해 기꺼이 수고를 감당하자고 한다.

 

좋은 말이지만 상투적인 충고라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다른 도리가 있겠는가?

그렇게 노력하는 수밖에 없지.

 

저자는 마흔 줄에 들어선 독자들에게 이렇게 격려한다.

“마흔은 세상의 허리다.

허리가 움직이지 않으면 세상이 돌아가지 않는다.

우리는 달려야 한다.

인생의 쓴맛도 여러 번 봤으니 별로 무서울 것도 없다.

세상 돌아가는 룰도 슬슬 보이기 시작한다.

생각해 보면 꿈을 이루기에 딱 좋을 때다.

우리는 아플 수도 없는 마흔이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