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등생 해법 과학 4-1 (2022년) - 기초 학습능력 강화 프로그램 우등생 해법 시리즈 (2022년)
천재교육(참고서) 편집부 지음 / 천재교육 / 202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학교에서 과학을 배운 지도 횟수로 2년이 되어 가는 예비초등4학년!

올해부터 검정교과라서 초3,4의 과학교과가 바뀌는데요.

공통된 교과서가 아니라서 집에서 혼공하거나 할 때 문제집의 선택을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인 분들이 많더라구요!

어떤 교과서를 쓰더라도 걱정없는 초등과학문제집, 천재교육의 우등생과학이 있으니

고민은 그만~! 열심히 재밌게 홈스쿨 하기만 해요~^^

저희 딸은 3학년때부터 꾸준히 우등생 시리즈로 국어, 과학, 사회를 학습하고 있어요.

물론 수학도 말이죠.ㅎㅎ

아무래도 다양한 교재들이 서점에는 깔려있고

그 중 내게 꼭 맞는 교재를 선택하는 건 아이가 스스로 하게 되는데요.



학습만화를 통해 각 단원의 학습내용을 미리 접하면서

어려울 수 있는 혹은 새로운 부분들에 대한 거부감은 줄이고

재미있는 과학학습을 할 수 있는 과학교재, 우등생 과학을 늘 고집하는 딸이랍니다.

여전히 학습만화는 아이들에게 흥미유발 대상이잖아요?!

1단원 과학탐구는 꽤나 딱딱하고 지루할 수 있는 주제지만,

이어지는 개념웹툰까지 QR코드로 활용하다보면

어느새 새로운 단원에 대한 흥미가 up! 됩니다.

-

요즘은 교재에 QR코드가 필히 있어야, 아이도 활용하며 혼공하기 딱이더라구요.

천재교육 우등생 과학4-1은 실험영상도 QR코드로 만나볼 수 있어서~

실제 실험을 하지 않은 상태지만, 자료만을 통한 학습보다 훨씬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지층과 화석과 관련한 학습이 이뤄지니까~

실험영상도 지층이 쌓이는 순서를 모형실험을 통해 추리할 수 있음을 담았습니다.

실제 지층과 모형 지층의 관계도 글로 보는 것보다 이해가 쉬움!!

지층모형과 실제 모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까요?!

공통점

층층이 쌓여 줄무늬가 있고,

아래에 있는 층이 위에 있는 층보다 먼저 쌓였으며

여러 가지 색깔의 층이 있다

요렇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차이점은,

모형의 경우 짧은 시간 동안 만들어지고

실제 지층은 오랜 시간 동안에 만들어지고

지층 모형은 단단하지 않지만, 실제 지층은 단단하다

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글로 정리된 개념들을 보고 학습이 되었지만,

한번 더 실험동영상을 통해 학습하니 아이가 확실히 이해를 하네요!

개념웹툰에 이어 개념알기를 통해 1단원 내용을 학습해 볼까요?!

관찰, 측정, 분류, 예상, 추리, 의사소통 에 대한 부분을 개념과 자료들을 통해 학습해보아요.

공통된 출판사들의 내용들을 뽑아 차례대로 배울 수 있어서

내가 어떤 교과서로 학교에서 배우더라도 안심입니다.

학습은 예습을 하면, 자신감이 생기는 터라 아이는 방학을 이용해 교과목에 대한 꾸준한 예습이나 선행을 이어오고 있다보니

국어나 수학 등이 아니더라고 과학도 꼭 예습하고 있어요.

과학탐구에서 다뤄지는 개념이나 단어들이 가끔은 헷갈리거나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우등생 과학 1단원 공부로 이제는 그만 헷갈리기!

예를 들어 분류는 탐구 대상을 특징이나 조건에 따라 무리 짓는 것인데

그 방법에 대한 것도 연이어 설명하고 있어서

집에서 혼자 학습하는 경우라도 큰 어려움 없이 과학을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개념의 이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개념다지기' 문제들이 있어

바로바로 피드백이 가능해요!

과학이 네가지 영역 중 지구과학에 속하는 단원이라 개인적으로 아이가 좋아라하는 단원이기도 하고~

박물관 등을 통해 화석이나 지층의 변화 등에 대한 부분도 체험해본 터라

2단원 학습은 4학년 과학 시작 전부터 빨리 하고싶다 했던 부분입니다.

개념부터 차근차근 정리하면서 개념다지기 문제들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고~

문제들도 다양한 유형들로 풀어봅니다.

이암, 사암, 역암을 이루고 있는 알갱이의 크기를 부등호 문제로 풀어봤구요.

지층모형과 실제지층의 비교문제도 사진으로 만나보았습니다.

개념을 학습한다고 했는데, 실제 문제들을 풀다보면 헷갈리는 것들도 제법 나오더라구요.

좀 더 확실한 이해와 기억을 위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틀린 내용이 있으면, 그냥 답만 적어서 넘기지 않구요~

해당하는 자료를 찾아 앞으로 앞으로~

일단 어떤 문제를 틀렸나 확인 해봐야겠지요?!

15. 다음 보기에서 석탄과 석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골라 기호를 쓰시오.

화석이 아니다

화석연료라고 한다

옛날의 생물이 변한 것이다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총 네가지의 보기 중 한가지가 틀린 내용이라 찾아야 하는 문제였는데요.

잉? 화석연료라고 한다 를 틀린 내용이라고 적었네요.

그래서 일단 개념으로 돌아가기 전, 다시 풀어보게 했습니다.

두번째 풀 때는 바른 답을 찾아냈어요.

석탄와 석유는 화석이 아니다 라는 말이 잘못 된 건데요~!

일단 틀렸으니까, 개념으로 돌아가봅니다.

화석의 이용 부분을 읽어보아요.

화석은 생물의 종류로, 당시 환경을 추리할 수 있구요.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는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요렇게 내용이 딱 나와 있는데, 그냥 휘리릭 읽어버렸나봐요.

용어에 대한 설명까지 한번 더 언급해 주는 우등생 과학이라 혼공하면서도 차근차근 학습하다보면

어려움 없이 완벽한 과학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서술형평가나 수행평가를 대비할 수 있도록 문제들을 포진해 두었습니다.

특히 서술형 가이드, 수행평가 가이드 부분을 꼼꼼하게 읽어보면

학교에서 수시로 치는 평가에 대한 대비를 큰 어려움 없이 자연스레 해 나갈 수 있어요.

'돌에 새겨진 벌레가 기어간 자국'은 화석일까요? 아닐까요?!

요런 것도 은근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인데요.

인위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화석이랍니다.

인위적인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은 화석이 아니니까 꼭 기억해 보아요!

딸은 겨울방학 동안 열심히 4학년 1학기 과학예습을 했구요!

이제 거의 완북입니다. 진도에 맞춰 개념부분들은 다시금 활용할 예정이구요.

전과 등이 없더라도 개념서만 딱 준비 잘해두면, 실제 학교에서의 수업에 유용한 활용이 가능하니까~

과학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픈 아이들이라면, 홈스쿨링에 최적인 교재!

천재교육 우등생 과학4-1으로 화이팅 해보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