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전 자전 고전 - 아버지와 아들, 책으로 말을 걸다
김기현.김희림 지음 / 홍성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기현 목사와 아들 희림 군의 첫 번째 공저였던 그런 하나님을 어떻게 믿어요?’에 대한 서평을 쓴지 6년째 되는 때, 새로운 두 사람이 함께 쓴 책, ‘부전자전고전이 나왔다. 첫 공저인 그런 하나님을 어떻게 믿어요?’철학 부자의 변증학개론 시즌1’이었다면, 이번 책은 시즌 2’라 부를 만하다. 첫 공저를 읽을 때에도 나는 커다란 절망감에 휩싸였었다.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희림 군의 독서가,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 석사학위가 2개나 있는 나보다 훨씬 깊고 폭 넓다는 것에 너무나 놀랐었고, 마흔이 다 되어 가는 나 자신을 매우 초라하게 만들었었다.

 

그런데 이제는 무려 고전으로 신학자이자 종교 철학자인 아버지와 대작을 하는 수준에 접어들었으니 이제는 정말 넘사벽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제는 아버지 목사의 필력이 다소 딸리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기분 탓일까? 아마 아들만 칭찬만 들어도 배부를 아버지 김기현 목사이기에 이렇게 이야기해도 괜찮지 싶다.^^

 

이 책의 초고를 읽을 수 있었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너무 기쁜 일이고, 영광스러운 일이었다. 먼저 아들과 어떤 도구가 되었던 자유로운 소통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아버지들의 로망(?)을 저자인 김기현 목사는 이미 이룬 것 같아 부러웠다. 저자는 맺음말에 거친 초고를 읽고 매만져주었다는 감사의 표현으로 이름까지 거명하시면서까지 나를 치켜세웠지만, 이미 초고부터 잘 다듬어진 글이었다. 단숨에 쑥 읽혀 내려가고, 푹 빠지게 하는 매력이 가득한 책이 바로 부전자전고전이다.

 

이 책은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신학과 철학의 만남을 통해 현실 세계에 주요 중심 주제들을 대부분 망라하면서도, 심도 있게 다루었다고 생각한다. ‘존재로부터 시작된 철학적 대화는 국가정의에 대한 담론을 넘어, ‘사랑진리의 강을 건넌 후, ‘학문이라는 종착역을 맞이하게 된다. 주목할 부분은 각 주제에 대한 편지를 쓸 때마다 인용하는 책들을 각 장의 말미에 목록으로 정리해 두었다는 점이다. 책을 다 읽은 후, 이 책에 소개된 책들만 소화해도 인문학적 소양을 쌓는데 모자람이 없을 것이다.

 

코로나 블루로 힘겨운 시간을 지내는 독자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차갑게만 느껴지는 신학과 철학라는 도구를 가지고 부자간의 정을 가득 먹음은 교환 서신으로 풀어낸 책, ‘부전자전고전을 통해 우리의 마음도 조금이나마 따뜻함을 나누어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더불어 알찬 신학적, 철학적 지식으로 우리의 지식의 곳간을 가득 채울 수 있다는 것은 덤이다. 부자지간에 책으로 서로 말을 걸 듯, 이제 독자에게 이 책으로 말을 건다. 그 대화의 바다에 푹 빠져 보시길 바란다

나는 하나님 아버지에게 기억되고 싶고, 하나님을 기억하는 삶을 살고 싶다. 동시에 아들인 너를 기억하고 너에게 기억되는 나이고 싶고. 그게 아빠야. 내가 된다는 것, 그것은 기억하고 기억되는 가치 있는 존재가 되는 것이지....(p34)

아빠와 제가 나누는 편지를 읽는 독자들께 이 글이 딱딱하고 어려운 고전 해설이나 비평이 아니라 여전히 공부하고 배우는 학자와 학생이 주고 받는 읽을 맛 나는 지상(紙上) 대화이면 좋겠습니다.... (p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