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힘있는 자가 쓰는가 - 난징의 강간, 그 진실의 기록
아이리스 장 지음, 윤지환 옮김 / 미다스북스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에 읽은 책은 아이리스 장이 쓴 <역사는 힘있는 자가 쓰는가>.


제목만 들었을 때는 뻔할 것 같지만, “영어로 쓰여진 난징대학살에 대한 훌륭한 첫 번째 보고서라는 평가를 받는 책으로 출간 당시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일본의 우익 세력들은 이 책이 나오자 아이리스 장에게 협박전화와 메일 등을 보냈고, 우익세력들의 반발로 일본에서는 이 책이 출판되지 못한 상태에서 이 책에 대한 비판서들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특이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아이리스 장은 2004년 숨진 채로 발견됐는데, 일본 우익세력들의 협박을 이기지 못하고 우울증을 앓다 자살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배경을 대략 알고 있었기에 한 번쯤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난징대학살(아이리스 장은 이 책에서 난징의 강간이란 표현을 사용한다)에 대해 들은 적은 있지만, 이토록 끔찍한 일인 줄은 몰랐다. 히틀러는 몇 년간에 걸쳐 유대인 6백만 명을 살해했지만, 일본군은 난징에서 6주간 수십만 명을 학살했다. 중국의 한 도시인 난징의 사상자 수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유럽 전역의 사상자 수를 능가한다.


그 끔찍한 대학살 가운데서도 고통 받는 중국인들을 구하려 애쓴 외국인들이 있었는데, 특히 욘 라베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아이리스 장은 욘 라베에 대해 난징 시민들 사이에서 그는 영웅이었고, ‘난징의 살아 있는 부처였으며, 수십만 명의 중국인을 구한 국제안전지대의 전설적인 지도자라고 소개하는데, 욘 라베는 난징의 나치 지부 대표기도 했다. 욘 라베의 손녀 우르술라 라인하르트는 욘 라베가 나치를 사회주의자들의 조직으로 생각했다고 말하는데, 난징대학살이 일어난 1937년은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기 전이기도 하고, 나치가 사회주의를 모방한 면이 있으니 그럴 수도 있겠다싶긴 하지만, 역설적이긴 하다.


재미있게도 욘 라베가 나치 소속이라는 사실이 중국인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됐던 걸로 보인다. 난징 YMCA 간사였던 조지 피치는 라베의 나치 완장을 들어대거나 나치 훈장을 가리키면서 이게 뭔지 아느냐고 물으면 언제든지 효력을 발휘했다고 기록했다.


난징대학살에 대한 일본 내 논란을 다룬 마지막장도 흥미로웠다. 이시하라 신타로를 비롯해 난징대학살을 부정하거나 학살 규모를 축소하려 했던 수많은 일본 우익인사, 호라 토미오-혼다 가츠이치가 이끄는 학살파와 스즈키 아키라, 다나카 마사키가 이끄는 허구파사이의 논쟁, 난징대학살을 참회하고, 천황의 전쟁 책임을 언급한 사람들이 경험한 협박과 테러 등 몰랐던 내용을 많이 알게 됐다.


굳이 아쉬운 점을 꼽자면 일본의 군국주의 등 난징대학살의 배경에 대한 설명이 다소 부족하고, 관점이 새롭지는 않다. 그럼에도 분명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