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과 속 ㅣ 한길그레이트북스 30
M.엘리아데 지음, 이은봉 옮김 / 한길사 / 1998년 5월
평점 :
품절
엘리아데, 성과 속을 읽고
종교학이 어떤 학문인지 이해하기 위해 많은 이가 권한 책이 엘리아데의 『성과 속』이었다. 적어도 내겐 이 책에서 다룬 내용이 특별히 새로운 것이 없었으나, 기존 사회과학의 학문적인 논증이나 분석과는 성격이 다른 엘리아데의 사고를 엿볼 수 있었다.
엘리아데는 고대인에서 근대인에게 이르기까지 인간의 깊은 속성 안에 길러지고 양육된 ‘종교성’을 성과 속이라는 다른 범주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끝까지 읽어보면, 그가 말하려는 것은 성(聖)과 속(俗)의 분리가 아닌, 종교를 인간 본성의 양식으로 바라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성과 속의 구분을 ‘인간이 관련됨’으로써 가능하다는 부분이었다. 그렇기에 엘리아데가 말하는 종교학 탐구는 ‘인간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하며 바로 그 부분이 중요한 분기점이기에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면 종교학에 대한 정의도 판이해질 수 있다는 생각이다.
엘리아데가 말하는 ‘성과 속’은 인간 속성의 같은 부분에서 출발하는 다른 장(場)이다. 엘리아데의 삶을 통해서도 알 수 있지만, 그는 기존 학자들과는 다른 삶, 즉 다양한 종교 체험과 함께 ‘종교학’이란 학문의 체계를 세운 인물이다. 학문 이전에 존재한 종교가 후대에 이르러 다른 학문 사이에서 태어난 ‘종교학’은 역사의 종횡을 가로지르는 학문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그는 타고난(?) 예술성으로 학자로서는 드문 ‘작가’로도 활동했다. 이러한 그의 이력을 보더라도 학자로서의 엘리아데는 새로운 학문적 가능성 이외에도 학계의 주목과 함께 비판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책에서 흥미로운 부분은 고대인의 치유와 정화 의식 사례였다. 엘리아데는 에밀 뒤르켐의 토테미즘 사례를 들면서 성이 속에서 분리되는 순간, 종교가 탄생한다고 말한다. 즉, 세상의 모든 종교는 성(聖)에 대한 인간 본연의 본능적인 추구가 세속에서 하나의 무형의 형태로서 세상과 인간 안에서 독립한 형태로 자리잡았다. 예를 들어 엘리아데는 고대인의 토테미즘을 설명하는 데, 고대인은 자연물 자체를 숭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연물을 통해 현현(顯現)하는 성을 숭배하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이는 인간의 신(神)에 대한 추구와는 별도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엘리아데가 말하는 성(聖)은 인간 안의 신성성(神聖性)만이 아닌, 인류 역사 안에서의 모든 의례와 현대에까지 계속되는 국가라는 제도와 관습, 각 민족의 풍속 등의 모든 범주를 포함한 개념이다. 그렇기에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현대의 무신론자들마저도 그들 의식 안에 종교성에 대한 잔재가 남아있음을 말한다. 한 가지 강한 의문이 드는 것은 그렇다면 ‘인간 종교성의 원천을 어디로 보는 것일까’이다. 엘리아데는 심층적으로 분화되는 문제들을 다른 학문의 영역으로 넘기며 종교학의 한계를 규정한다. 그러나 고대인의 의식을 이야기하는 데 느낀 것은 지금 살아 있는 인간의 변하지 않는 속성을 통한 하나의 가설(假說)에서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인간 의식의 진화 과정과 종교성과의 관계, 한 집단 안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종교 현상의 분기점을 어디에서 찾아야 할지 자못 궁금하다.
이러한 논의 전개 과정을 지켜보며, 엘리아데의 사고와 주장이 학술 연구를 바탕으로 했음에도, 자신의 영적 체험과 직관(直觀)이 강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한다. 엘리아데의 연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그의 지적 여정과 언어 습득 과정은 종교학이란 학문 체계 안에서만이 아닌, 인간에 대한 탐구, 좁게는 종교를 이해하고자 하는 지난(至難)한 과정으로 보인다.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은 결코 쉽지 않다. 또한, 이 책의 전체- 1장 성스러운 공간과 세계의 정화, 2장 성스러운 시간과 신화, 3장 자연의 신성과 우주적 종교, 4장 인간의 실존과 성화된 생명-에서 다룬 각각의 내용은 종교학의 심화된 영역으로 나아갈 부분이라 생각한다. 책은 비교적 짧은(203쪽) 분량임에도 담고 있는 포괄성은 깊다. 아쉬운 점은 책의 번역 상태다. 역자는 곳곳에 저자가 엘리아데임에도 마치 제3자가 쓴 표현인, “엘리아데는, 엘리아데가 말하길” 이라고 했다. 또한, ‘그레이트 북’ 시리즈이니만큼 한국어 사용에 대한 심화 교정 작업이 있어야겠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