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성격 찾기 - 자기 발견을 위한 성격심리학
엘리자베스 푸틱 지음, 이미정 옮김 / 동행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나는 사람들 성격에 관심이 많아 어릴 적부터 단체 사진을 보고 이 사람 이럴 것 같다고 하면 그 사진 주인은 자기 둘레 사람들 성격을 내가 잘 맞춘다며 신기해 했다.
나는 사람을 매우 빠르게 관찰하는 편이다. 그리고 사상체질을 알고나서는 그것으로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고 알아나가는 게 아주 편리했다.
이 책을 보면 지시문이 있어 그대로 해야 한다. 자기 성격을 먼저 알아보고 나서 읽어야 하는 것이다. 성격을 알아보는 그 문항들을 읽으니 지은이가 얼마나 사람을 자세히 깊숙하게 관찰하고 그것을 썼는지 알 수 있어, 책을 읽는 데에 더욱 믿음이 갔다.
검사를 해보니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두 가지 성격에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나머지 성격과 그 차이가 크지 않아, 나는 나름대로 '음, 살면서 꽤 수양을 많이 했군.'하며 스스로 만족하기도......
이 책에 나오는 성격은 일곱 가지-장인형, 현자형, 봉사자형, 성직자형, 전사형, 제왕형. 학자형이다. 물론 세상 사람들이 모두 이 일곱 가지에 들어가면 이 세상은 얼마나 평화로울 것인가. 그만큼 이 책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성격은 다 다르며 어느 성격만 좋은 것이 아니고, 또 그 차이가 우리들이 질문지에 표시를 할 때 이럴까 저럴까 망설이기도 하는 것처럼 뚜렷하지 않은 것도 있고, 또 거침없이 표시할 만큼 나와 다른 것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것을 우리가 왜 알아야 할까? 먼저 이 책은 어떤 사람이 볼까. 다른 사람 성격을 도무지 알 수 없다거나, 나와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기 힘들어 어려움을 겪는다거나, 자기 조절 능력으로 스스로 성격을 잘 갖추어 나가고 싶은 청소년기에 있거나, 아랫사람을 잘 다독여 하나하나 우주일 만큼 복잡하고 다른 그 세계를 일치시켜나갈 필요가 있을 때 이 책을 손에 들 것이다. 그래서 자기가 생각없이 표시했던 그 항목, 그 행동 방식이 어떤 형으로 대표되는지 알고 자부심도 가질 수 있고, 다른 형이 가지고 있는 행동에서 부러운 것을 따라해 볼 수도 있다.
이렇게 사람이 가지는 공통점과 다른 점을 알아야 할 까닭은 끝도 없다. 그처럼 이 책도 뜻있게 읽히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