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기의 교실밖 인문학 - 소크라테스부터 한나 아렌트까지
최진기.서선연 지음 / 스마트북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진기의 교실밖 인문학

소크라테스부터 한나 아렌트까지~ 최진기 선생님과 함께하면 인문학이 재미있고,

흥미있어 지네요. 방송에서 자주 뵙던~~그리고 책으로 만났던 분을 다시

<최진기의 교실밖 인문학> 책을 통해서 만났네요.

인문 초보자를 위해서 고전 각 분야의 최고의 책을 만나게 되죠.

고전에 제대로 들어가기 전에 도움닫기를 하기에 좋은 책이랍니다. 인문학의 여행 지도라고

생각하면 좋겠네요.

중학생 딸과 함께 재미있는 인문학의 세계로

들어가 볼까해요.

무지를 깨닫는 방법으로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이 있죠.

소크라테스는 외형으로도, 그리고 부인에 대한 이야기로, 그리고 그는 만나는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퍼붓어 상대가 무지해 있음을 알게 했어요.

그리고 소크라테스의 대화편은 많이 알려져 있죠. 소크라테스는 살아 있는 대화로만

참된 지식을 전달된다고 믿어 글로 남겨 있지 않아, 그의 제자 플라톤이 스승의

가르침을 책으로 남겼어요.

그의 제자 플라톤은<국가>를 썼어요. 정의로운 인간을 위하여 4주덕이 있다고 했지요.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답을 비교해주죠.

인문학의 힘은 서로 다르게 생각하는 힘을 만들어 주죠.

근대에 와서는 인간의 시대를 열었어요. 뉴턴처럼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 보자.

베이컨의 경험론, 예전 공부하더 시절이 떠오르네요.

자연스러운 이야기를 통해서 베이컨의 우상론에서 종족의 우상에서 모티브를 따서 꾸민 이야기라는데요.

이해가 더 쉽게 되었어요.

데가르트의 합리론, 인간은 늑대라는 홉스의 사회계약설 등~~ 우리 녀석이 배울 내용들이

맛보기로 접하는 시간이죠.

19,20세기 새로운 인간 발견의 자취를 따라가 볼까요?

다윈의 진화론 배운적이 있죠, 진화론을 둘러 싼 논쟁들과 진화론을 악용한 사례를 알 수 있어요,

정치에 악용된 사회 진화론을 바탕으로 서구 제국자들은 많은 나라를 식민지로 만들었어요.

프로이트의 무의식, 심리학에서 많이 나오죠. 현대 사회에 와서 지나친 육식이 문제라는

제레미 리프킨의 종말 시리즈를 만나요. 방송에서 이 부분을 다룬적을 본적이 있는데요.

흥미로운 주제였죠.

제인 구달의 자연과 공존기~~ 이번에 전시회에서 제인 구달의 사진과 그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요. 이 책을 통해서 더 그녀를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다양한 고전을 만나 볼 수 있어요. 자신이 흥미로운 부분을 더 깊이 있게 찾아보면 좋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