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공부의 기초 - 역사가처럼 생각하기
피터 N. 스턴스 지음, 최재인 옮김 / 삼천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 공부의 기초

World History, the basics

우리 역사만 보아도, 주변 세계의 여러 나라, 주변 정세에 따라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의 영향을 받고

그 파생적 결과들과 관련

되어 있다. 우리가 변화 되는 사회, 세계의 흐름을 이해하려고 하는

데 필요한 것은 세계 여러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그 첫번째임을 말이다.

이 책은 중학생 녀석이 세계사 공부를 시작하면서 고민도 늘었다. 해야 할 것과 꼭 필요한

지식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세계사 공부의 기초부터 시작하고 싶어서다.

어떻게 세계사를 시작해야 할까? 그 출발선을 그리고 역사적 흐름과 틀을

정하고 싶었다. 방대하고, 배우고, 호기심이

생기지만, 정해놓은 목표 없이 접근하는 것은 쉽게 사람을 지치게 한다.

우리 역사에 흥미를 느낀 녀석은 조금씩 주변국이나 뉴스에 나오는 세계 문제들이 궁금해

한다. 하나 못해, 영화나 해외 드라마를 보려고 해도,

그들의 다양성을 이해하려면 기본은 문화와 역사의 이해가 맞물린다.

국가와 지역이라는 틀을 벗어나 인류의 역사라는 틀을 보다 폭넓게 바라볼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정해진 틀과 시각을 버리는 일~

역사가처럼 생각하는 법, 시간, 시대를 구분하고 평가, 세계사의 쟁점 등~~

8장에 걸쳐 알게 된다.

필요한 자료와 객관성을 가지고 검토하는 눈을 기르는 것이 역사가처럼 생각하기의

요점이다. 사료와 방대한 자료를 통해서 역사를 추론해 가는 과정, 방식을 배운다.

어렵기는 하다. 스턴스의 시각으로 보고, 또한 이 책을 읽는 사람만의 시각도

중요하다.

여러개의 정체서들과 그 관련 된 문화들을 진지하게 배우고, 지역적 정체성을 넘어서

어떤 식으로 지구적 차원의 상호작용에 대해 깊이 있게 배우는 것이 목표를 삼는다.

세계사를 배워야하는 이유와 그 접근적인 사고의 틀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