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휘둘리지 않는 힘 - 셰익스피어 4대 비극에서 '나'를 지키는 힘을 얻다
김무곤 지음 / 더숲 / 2016년 1월
평점 :
휘둘리지 않는
힘

(셰익스피어 4대 비극에서 ‘나’를 지키는 힘을 얻다.)
햄릿은 읽다가 다 못 읽었던 책이다. 리어왕은 아이의 명작으로 읽었던 책이고, 맥베스는
영화로 봤다. 오셀로는 아직 책으도 영화로도 못 읽었다. 이번 책은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이다. 작년에 상식 책에서 아이들이랑 외웠던 부분이다. 작은 녀석이
나보다 먼저 4대 비극을 외우면서~~ “와@@ 그때!! 그 비극 책이 여기에
있다는 이야기지.”라고 말한다.
리어왕은 앞부분 대사가 다시 또 올랐다. 읽으면서도~~대사를 하는 부분이라~~
나도 모르게 자꾸만 연기를 하게 되었던 책이다. 이번에 책 제목이 이끌렸다.
이 책은 똑같은 책을 읽어도 읽는 사람의 시대, 나이와 처지 등에 따라 자기 나름의 시각으로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흥미로웠다. 같은 인물을 읽는 사람에 따라서
완전 다르게 받아드리는 구나!!

나또한 그랬다. 먼저 만들어 놓은 작품 속의 주인공들의 성격을 그냥 그들의
시각으로 받아드렸다. 그리고 그 유명한 햄릿의 대사를 인용한적도 있었다.
그런데 ~~
이제는 책을 읽으면 다른 사람들의 잣대나 시각이 아닌 나의 잣대와 시각으로
인물을 파악하려고 한다. 내가 그렇게 느꼈다면 그 당시 나의 삶의 상황과 처지
나이, 시대 등을 아주 복합적으로 상호작용 되어서 그렇게 느껴진 것일것이다.
작품을 보다 독립적인 시각으로~~읽는 습관을 갖게 해준 책이다.
다른 사람들의 시각, 평론가, 공연되는 작품을 받아드릴때 자기만의 시각의 주인공과
그들의 주인공이 어떤 관점으로 보고 있는지 그 차이를 찾아보고 비교해보는 것도
문학을 읽는 재미가 될 것 같다.

결국 책을 통해 나의 어려움과 나의 처지와 나만의 시각으로 주인공을 만나게 된다.
햄릿도 리어왕도 맥베스도 말이다.
리어왕처럼 자신의 처 놓은 올가미에 아픈 마음은 광기로 변한다. 그런데 딸의 시각에서
다시 리어왕을 보았을때 리어왕이라는 인물은 완전히 달라져 있다.
이제껏 두 딸에게 배신 당한 리어왕만 생각했는데 말이다. 리어왕은 비극은 스스로가 목에 건
밧줄이다. 자식을 키우는 입장에서
두 자식 모두에 공평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을까? 다만 노력할 뿐이다.
이해해주기를 바라면서 말이다.
그 당시 내 입장에서 최선을 다 할 뿐이다. 받아드리고 해석하는 것은 아이들이 몫이겠지란 생각이 든다.
책을 읽는 동안 자꾸만 나 자신에게도 돌아왔다. 책을 다른 시각으로 보는 법을 배웠다.
읽는 동안 흥미로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