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수요일의 소녀입니다 - 평화비가 들려주는 일제 강점기 이야기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는 한국사 그림책 1
안미란 글, 이경하 그림, 한혜인 감수 / 개암나무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01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는

한국사 그림책


평화비가 들려주는 일제 강점기 이야기

나는 수요일의 소녀입니다.


 


<개암나무>


  역사를 바로 알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는 수요일의 소녀입니다.> 책 표지의 평화비는 아이들이 텔레비전에서 방송을 본 적이 있어요. 아픈 우리의 일제 강점기의 역사를 통해서 역사 바로 알기의 필요성을 느꼈지요. 또한 우리 녀석들도 많이 분해하고 억울해 했답니다. 평화비를 통해서 우리는 아픈 역사의 이야기를 우리 아이들에게 전하고 바로 알고, 관심을 갖는데 동참해야 될 것 같아요.


  거짓말로 얼룩진 역사를 바로 잡고, 두려움을 무릎쓰고 용기를 내어서 세상에 자신의 이야기를 증언 하신 많은 할머니들을 위해서도, 언제가 되었든간에 사과와 보상을 받아야해요.국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분들을 위해서 함께 목소리를 내고 싸워야 한다는 사실을 아이들이 기억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과거의 잘못된 역사를 바로 잡지 않는 나라는 바로 설 수 없다는 사실을 일본은 기억해야 할 것 같아요. 책을 읽는 동안 마음이 아파오네요. 우리 녀석들도 많이 놀라고, 화나고, 속상해 했답니다.


 


    아픈 역사를 통해서 우리 자손들이 해야 할 일이 분명히 있다는 것을 배우겠지요. 사람들은 나를 평화비 혹은 소녀상이라고 부른답니다. 부모 형제와 떨어져 전쟁터에 강제로 끌려간 아픔을 묘사하기 위해서 머리칼이 거칠게 뜯겨진 듯 잘린 모습을 표현한 거예요. 너무나 이쁜 오목이를 보면서 앞으로 다가올 일들이 무섭게만 느껴졌어요. 순사들이 처녀 공출을 한다는 이야기는 엄마인 외할머니를 통해서 들은적이 있어요. 그래서 엄마의 외할머니도 일찍 시집을 서둘러서 갔다고 했거든요. 책속에서도 놋그릇 공출, 쌀 공출, 처녀 공출까지 모조리 빼앗가고 있는 일본이였어요.


 


  순사와 면장이 아빠를 향해서 노려 보았어요. 그리고 오목이를 끌고 갔어요. 오목이가 끌려간 곳에는 다양한 지역에서 끌려온 소녀들이 가득했어요. 모두 배에 실려 군수물품이라고 적어서 물건처럼 취급을 했지요. 오목이는 일본이 전쟁을 벌이고 있는 지역인 인도네시아까지 갔어요. 위안소 생활은 비참하고 군인들에 의해서 많이 소녀들이 죽어가고 성적 학대를 당했어요.  이야기를 읽는 동안 아픔과 슬픔으로 마음은 점점 무거워졌답니다.


 


    다시 고국 땅으로 돌아온 오목이는 집을 먼 곳에서 바라만보고 떠났어요. 그리고 자신에게 있었던 일들은 아무에게도 말을 하지 않았답니다. 1991년 8월 모두들 입 다물고 있을때 가장 먼저 증언을 하셨던 분이 바로 김학순 할머니랍니다. 그 후 많은 피해자 할머니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기 시작했고, 지금까지도 많은 분들이 일본의 사죄를 받기 위해서 일본 대사관 앞에서 수요일이 되면 시위를 하고 있답니다.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도 사진과 함께 잘 정리 되어 있어서 아이가 하나의 이야기와 유물, 유적 또한 상징물을 통해서 역사를 바로 배우게 되는 그림책이죠. 함께 제대로 읽고 배우고 알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책이랍니다. 의미있는 책읽기 시간이였어요.


개암나무 출판사의 책 지원을 무료로 받고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