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툴지만 행복한 한부모 육아 - 홀로 아이를 키울 때 중요한 것
사사키 마사미 지음, 송수영 옮김 / 북클라우드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홀로 아이를 키울 때 중요한 것

서툴지만 행복한 한부모 육아


 


  일본 엄마들이 가장 믿는 아동정신과 의사 사사키 마사미가 전하는 싱글맘 싱글대디를 위한 따뜻한 메시지.


  지금 공부하고 있는 과정 중에 다양한 가족의 형태에 대해서 알고 싶어서 선택했던 책이였다. 서툴지만 행복한 한부모 육아,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그들을 이해하는 일이 필요해서 읽기 시작했지만 책을 읽는 내내 한부모이든 양부모이든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가 행복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양육관이 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두 부모가 함께 양육한다고 해서 모든 아이들이 행복한 것은 아니다. 한부모가 양육을 하든, 다양한 사연으로 다른 분에게 양육이 되는 상황이라도 자신의 양육자와의 관계가 따뜻하고 안정적이면 아이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면서 건강하게 살아갈 것이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서 우리 사회에서 만연하고 있는 편견의 힘이 한가정을 소외하고 무너지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한부모 가정에 대한 편견과 시선 때문에 이혼을 결심하고, 사별을 한 후 아이들의 양육에 자신감을 잃고 더 힘든 시기를 보내게 된다. 사별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지만, 이혼은 둘보다 혼자 키우는 환경이 아이에게 더 좋은 환경이라는 자신감을 갖고 자신을 도울 협력자들을 찾아야 한다고 한다.


  사람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인간관계에서 고립은 다양한 문제를 만들어 낸다. 한부모 가정이라는 상황에 놓였다 하더라도 아이를 위해서 최선을 다하면 아이는 힘들지만 상황을 더 잘 이해하고 잘 이겨낼 수 있는 내적힘이 만들어 진다. 가정을 폐쇄적으로 만들지 말라고 말한다. 아이가 자라면서 사회에 조금이라도 빨리 적응하기 위해서는 함께하는 사람이 필요하듯, 엄마, 아빠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을 많이 만나면서 함께 키워가는 것이 아이의 정서와 사회성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부모의 행복이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가 자신의 인생을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해진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한다. 이혼 후 죄책감을 갖기 보다는 더 열심히 살려고 노력해야 한다. 게다가 저자는 이혼은 조금 더 나은 인생으로 걸어가기 위해 깊이 고민하여 스스로 내린 결정이라고 한다. 오히려 앞으로의 인생을 긍정적으로 설계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을 만들어서 아이를 잘 키워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이죠. 부모의 인생이 아이의 인생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기억하면서 편견을 버리고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받아드리는 인식의 변화와 노력이 필요한것 같다.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