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엄마처럼 똑똑하게 야단쳐라
지젤 조르주, 샤를 브뤼모 지음, 임은신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프랑스 엄마처럼 똑똑하게 야단쳐라.


 

  아이들을 키우면서 아이를 똑똑하게 야단치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아이들에게 훈계를 하게 될때 감정을 실어서 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간단 명료하게 분명한 메시지를 전해야 하는데 막상 아이와의 충돌 상황이 닥치면 곧 불필요한 이야기를 하게 된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부모와 자녀 사이에 존재하는 유일한 정서적 유대와 애착을 이용해 부모로 하여금 죄책감이 들게 만들고, 한 발 물러서게 한다. 그러한 감정을 이용해서 아이들은 부모가 정한 금기 사항들을 어기려고 한다. 이럴때 어떻게 하면 아이들의 감정과 정서를 다치지 않게 하고, 자녀를 이해시키고 존중하도고 가르치는 역할을 해야 할까? 프랑스 교육에 관해서는 다른 책을 통해서 조금 접했고, 그들은 귄위 있는 자녀 교육으로 현명하게 아이들과 지낼 수 있는지 프랑스식 자녀교육법이 궁금했다.

 

 


 

  프랑스 엄마들은 편안하고 차분한 권위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고함 치는 문화가 더 익숙한 것 같아서 수단이 좋지 않으면 결과도 나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부모는 아이를 점차 자립시켜 어느날 아이가 인생이라는 길을 혼자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서 운전강사와 같다.


  옆집 육아를 따라 할 수 없는 이유를 배워야 한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유일해서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는 완벽한 부모나 완벽한 자녀, 또는 완벽한 교육지침서는 있을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힘들고 귀찮다고 아이가 원하는 것을 순순히 들어줘서는 안된다.


  애착과 분리는 아이가 자신감을 갖게 하는 기반 중에 하나이다. 아이의 머릿속에 부모는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어른이 아니라는 점이 인상적이다. 아이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요청법을 통해서 부모인 나도 태도와 언어를 다시 배워야 한다는 점과 단호함과 편안한 권위를 배워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호자로 부모로 자신과 자식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소신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프랑스 엄마에게 배운 좋은 점들을 잘 활용해보았으면 좋겠다. 열심히 따라해보고, 우리 아이들에게 더 좋은 점을 잘 전달하고 함께 하는 귄위있는 한국엄마가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