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내 옆에는 왜 이상한 사람이 많을까? + 나는 무적의 회사원이다 - 전2권
산드라 뤼프케스.모니카 비트블룸.손성곤 지음, 서유리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내 옆에는 이상한 사람이 많을까?

 

 

 

이상한 사람들 때문에 괴로운 소설가

이상한 사람들 때문에 더 괴로운 심리학자

두 사람이 만나서 쓴 전격 ‘심리 자기 계발’

 

 재수없는 그 인간, 피하는 게 상책일까?” 재수 없고 짜증 나는 12가지 진상형 인간 대응법

 

 

 

 

 

  내 주변을 살펴 보는 책이다. 책을 읽는 동안 다양한 사람이 떠올랐고, 지웠던 기억 속의 사람들도 생각이 났다. 또한 내가 그 이상한 사람은 아닌가? 라는 가슴이 콕콕 찔리는 글도 있었지만 마지막 테스트를 통해서 마음의 안정을 찾았다. 도대체 만나고 싶지 않은 사람들 중에 그 진상형 인간들은 학교 안에서도 밖에서도 사회에서도, 가까운 혈연 안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물론 나도 가끔은 이상한 인간이 되어 기억 속에 있겠지. 뭐~그것까지는 어쩔수 없지만 지금 현재로 돌아와서 책을 읽는 동안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을 만난다.

 

 

 

 

 

  어딜가나 만난다. 만나고 싶지 않지만 다양한 모습으로, 교묘하게 위장한 모습으로 우리들 가까이에 있다. 이웃의 모습일수도 있고, 직장 동료 일수도 있다. 아주 가까운 이들은 자신만을 망치는게 아니라 함께 있는 사람들을 힘들게 한다. 나도 최근에 굉장히 이상한 사람을 만났다. 처음에는 아주 쿨한 모습으로 다가왔다. 그런데 헉~시도때도 없이 화를 내며. 이상한 자격지심이 가득했다. 또한 주변에 잘난 사람들을 보지 못한다. 유아적 사고로 자신만이 가장 잘났다고 하는 전형적인 뭐든지 아는 체하는 사람이다. 자신이 돋보이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은 그저 배경 풍경이다.

 

  자신의 자유는 침범 당하면 큰일 나는 사람이였다. 그런데 그런 자유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자유나 존중은 찾아보기 힘들다. 헉 했다. 그런데 책에서 말하는 저자의 말을 읽는 동안 한가지 유형에 포함 되기 보다는 한 사람이 다양한 유형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을 대처 하는 방법도 나와 있는데 그 사람을 바꾸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화를 잘 내는 사람과 대화 할 때 유의할 점도 있다. 또한 당신이 강해진다면 그 사람이 공격해도 피해를 줄일 수는 있다.

 

 

 

 

  남의 업적을 가로채는 사람, 뭐든지 아는 체하는 사람, 화를 잘 내는 사람, 치근덕거리는 사람, 거짓말을 일삼는 사람, 남의 성공을 시기하는 사람, 까다로운 척하는 사람, 불평불만이 많은 사람, 그때그때 인격이 달라지는 사람, 거저 먹으려는 사람, 불행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사람, 긍정을 강요하는 사람, 나는 누군가에게는 이상한 사람?  마지막은 자가진단을 통해서 나의 인간관계를 되돌아보기를 했다.

 

  아무리 피하려 해도 어딜 가나 한 명쯤은 꼭 만나게 되는 진상형 인간. 도대체 어떻게 해야 나를 괴롭히지 않을까?

책을 읽는 동안 다양한 감정이 일어났다. 또한 조금만 일찍 이 책을 읽었다면 그 사람을 고치지 못하더라도 내가 덜 상처 받고, 신경을 덜 썼을텐데 말이다. 아쉬움도 살짝 남았다. 읽으면서 재미도 있었다. 그런데 뭔가 조금 부족한 느낌은 뭘까? 그건 나의 몫이겠지. 정답은 없다. 이제 누군가가 짜증나게 하면 어떻게 할까? 새로운 입장을 취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