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탈무드 - 하브루타 아빠의 특별한 자녀 교육법 하브루타 교육 시리즈
양동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하브루타 아빠의 특별한 자녀 교육법


토론 탈무드


  하브루타 아빠인 저자의 <토론 탈무드>를 읽기 전에 <유대인 하브루타 경제교육>을 통해서 먼저 만났던 분이다. 아버지가 자녀 교육의 중심에서 실천하는 교육을 보여주는 모습이 나에게는 무척이나 인상적이였다. 우리 아이들 경제교육을 하기 위해서 읽고 싶었던 유대인 교육은 나에게 새로운 지혜를 주었다. 유대인은 세계 곳곳에서 자신들의 특별한 종교와 교육을 바탕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소수 민족인 유대인이 그 오랜 시간 박해와 침략 속에서도 지금의 저력을 보여주는 그 힘이 궁금했다. 이 책을 읽기 전에 탈무드는 어린이들이 보는 수준의 동화로 접했다. 아이들도 탈무드 이야기를 좋아하고, 짧은 이야기가 들려주는 다양한 여운과 지혜는 어른인 나에게도 매력적이였다. 그래서 <토론 탈무드> 책을 읽기 전부터 마음이 설레였다.


  하브루타가 무엇인지 몰랐던 우리 녀석들도 <유대인 하브루타 경제교육> 책을 읽고, 엄마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조금씩 변화를 느꼈다. 예전보다는 아이들의 생각을 존중하고 아이의 생각을 묻는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대화를 이끌어 낸다. 그것이 작은 변화였다. 또한 일상 속에서 돈을 어떻게 생각하고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용돈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방법도 서로 의논을 한다.


  이번에는 <토론 탈무드>다. 탈무드 속에 있는 다양한 의미를 저자가 아이들과 하브루타 교육을 하면서 대화하는 형식으로 이끌어 간다. 이야기를 듣고 있자면, 저자가 아이들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또한 아이들의 작은 변화와 대답에도 늘 긍정적으로 피드백 해준다. 하르부타를 한국의 평범한 가정에서 어떻게 실천 할 수 있는지 그 사례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그들이 직접 실천을 하는 형식으로 노력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아이들의 기발한 대답에도 놀라움이 가득하다. 아이들에게 생각 할 수 있는 질문의 힘이 위력을 보인다. 아이들은 자신과 이야기를 하고 대화하는 아빠를 기다린다. 또한 저자의 할머니와 엄마도 토론의 구성원이다. 그들은 토론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하고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연습을 한다. 그리고 부모님의 생각을 듣는다.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아빠를 통해서 배운다. 가족을 통해 배운다. 가장 안전하고 편안한 방법인것 같다.


  요즘 대한민국의 핵심 키워드는 소통이 아닐까? 그런데 관심 단어에도 불구하고 소통은 여전히 어렵다. 그 근원의 뿌리가 우리는 밥상머리 교육을 중요시 하지 않은 점이 아닐까? 밥상머리 교육부터 가족과의 자연스러운 토론 문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자신을 표출하는 법을 배우고, 경청하는 방법을 배우게 될 것 같다. 그것이 엄마인 내가 원하는 답이 될 것 같다. <토론 탈무드>를 통해서 지혜를 배우고 생각하는 힘을 기른다. 자신의 생각을 전달 하는 방법과 나와 의견이 다른 사람과의 타협하는 방법을 배운다. 함께 따라해 볼 수 있는 실천서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