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과 꾸중의 심리학 - 잔소리, 큰소리, 짜증내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키는
오쿠다 켄지 지음, 정연숙 옮김 / 센추리원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잔소리, 큰소리, 짜증내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키는

칭찬과 꾸중의 심리학

 

 초등 두 녀석 아이를 키우면서 양육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합니다. 사람을 길러내는 일이라 늘 생각과 걱정이 따라오네요. <칭찬과 꾸중의 심리학>을 읽으면서 원칙과 감정 사이에서 균형을 잡고, 부모가 아이의 미래에 대한 과도한 걱정으로 통제와 제재, 과도한 규칙을 만들어서 스스로 고민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단순히 내 아이만 겪는 문제가 아니라 아이의 성장과 발달 속도에 따라 반드시 등장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엄마가 단편적인 모습만 보고 미리 판단을 하는 실수를 조금이라도 줄여나가야겠습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비슷한 고민과 걱정으로 힘든 육아를 하고 있는 분들이 많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저 또한 그랬고요.

아이의 성장 과정에 필연적으로 등장하는 단편적인 모습에 충격받지 않고 흔들림 없는 신념으로 아이를 키우려면 ‘어떤 아이로 키우고 싶은가’라는 육아 비전을 엄마가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어야 합니다.

 

 

 그는 아이의 기질과 습관은 타고난 성격이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관심과 노력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고 말한다. 특히 ‘아주 사소한 일이라도 아이의 긍정적 변화를 발견하면 차고 넘치게 칭찬해야 한다’며 부모의 칭찬과 관심이 최고의 육아 해법이라고 말한다. - 책속에

 

왜 아이는 말을 듣지 않을까?

 

 엄마의 어릴적으로 돌아가보면 가끔 일방적으로 부모가 먼저 규칙을 정한 후에 아이가 따라올 충분한 보상과 칭찬도 없이 몇번 잘하면 그냥 못할 때만 지적하는 그런 육아로는 아이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부모가 되어 보니 저 또한 부모님들이 했던 권위가 무한 허용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건강한 자존감을 세워주는 원포인트 심리학으로 아이의 자발성을 이끌어내고, 아이에게 상실의 기회, 기회비용 등 다양한 사회성에 필요한 기술을 어릴적부터 알려줘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아이와 약속을 했다면 아이가 약속을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무한 칭찬을, 지키지 못했을때는 엄마가 처음 아이와 함께 정한 규칙을 일관성 있게 밀고 나가야 한다는 것을요.

 

아이의 권리와 특권 사이에서 잘 조율하고, 부모가 아이의 작은 칭찬 행동을 놓치지 말고 늘 응원하고 지지 해야 한다는 것을요.

 

부정적인 교육 방식으로 아이를 웃게 할 수는 없습니다. 즐거운 책읽기, 엄마가 한뼘 성장하는  책이 였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