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백꽃 파랑새 그림책 98
김향이 글, 윤문영 그림 / 파랑새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 동백꽃

 

아름다운 우리 동백꽃에 이렇게 애달픈 민족의 아픈 역사가 함께하는지 몰랐어요.

책을 읽는 동안 그런 제가 부끄럽고 너무나 아름다운 그림과 애절한 우리 동백꽃 이야기에 가슴 한편이 애절하고 아팠답니다.  우리 녀석은 글과 그림에 관심이 많아서 그런가~~그림에 푹 빠졌어요.

또한 우리의 역사에 대해서 궁금한것들이 많아졌어요.

그림을 그린분에 대해서 찾아보더라구요. 이야기 또한 참 칭찬해주고 싶었어요.

또한 아름다운 다섯가지 색깔의 여덟 겹 꽃잎의 아름다운 동백꽃이 임진왜란 중에 왜군 장수 가토 기요마사는 울산 학성에서 캐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바쳤다고 해요.

우리의 식물까지 훔쳐간것이지요. 우리의 동백꽃은 세계의 희귀종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가치가 높겠지요.

 

 

임진왜란 400주년이 되던 해에 우리 동백 세 그루가 고국의 품으로 돌아왔답니다. 우리의 꽃이 400년 동안 남의

나라에서 고국을 얼마나 그리워했을까요?

 

 

- 신문 기사 중에서

 

1989년 일본 사찰에서 첫 발견되고 이후 민간단체에서 울산동백 반환 운동을 추진하게 되었다.

 

세상에 하나뿐인 ‘오색팔중산춘’이라고 불리는 나는 일본 교토의 춘사라는 절 마당에 살고 있어요.

사백여 년 전에 우리 어머니가 조선 땅에서 이곳으로 옮겨진 다음 이세, 삼세 자손들이 불어나 열 그루나 늘었지요.

어머니는 조선을 떠나온 뒤로 단 하루도 고향을 잊은 적이 없습니다. 눈을 감는 순간까지 말이죠.

나는 어머니의 고향 이야기를 더 듣고 싶지 않았습니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가슴 한구석에 그림움이 옹이처럼 박혔습니다. 어머니의 고향이 자꾸만 궁금합니다. 어느날 한 노인이 저를 알아봅니다.

“너는 우리 역사의 쓰라린 증거다.

상처받은 역사를 바로잡고 새로운 미래를 열기 위해서라도

널 우리나라로 데려가야 해. 반드시”

그날부터 노인은 나를 데려가기 위해 애를 썼습니다.

 

 

꿈을 포기한 겁쟁이 나에게 꿈 같은 일이 벌어졌어요. 어머니가 그렇게 그리워하던 곳에 돌아가게 된거예요.

너무나 아름답고 간절히 원하는 소망은 언젠가 반드시 이루어진다고 해요.

아이들이 우리의 아픈 역사를 잊지 않고, 동백꽃에 대해서 더 많은 분들에게 이야기가 전해졌으면 좋겠어요.

우리가 잊지 않는한 언젠가는 우리의 다른 문화재들도 우리 곁에 돌아오겠지요.

아름다운 우리 동백꽃처럼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