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 동양고전에서 깨닫는 참된 부모노릇
송재환 지음, 정가애 그림, 김시천 감수 / 글담출판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 동양고전에서 깨닫는 참된 부모노릇 -
부모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부모의 바른 가르침이 자녀를 성장시킨다”
동양고전에 담긴 오래 된 지혜를 통해서 부모도 자녀도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부모가 먼저 바로 서야 올바르게 아이를 이끌어 갈 수 있겠지요?
이 책에서는 자녀의 교육이 어떻게 시작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말해줍니다. 저자인 송재환 선생님은 자녀교육의 시작은
아이가 아니라 부모라고 말합니다.
저 또한 아이가 점점 자라면서~ 혹~ 아이의 잘못이나 아이의 문제가 아니라 부모의 문제, 부모의 길이 바로 서야
되지 않을까? 싶어서 부모 관련 교육서를 읽었답니다.
부모가 목표를 정하지 않으면 우리의 사랑스러운 자녀도 함께 흔들리지 않을까? 싶더라구요.
동양고전을 아이들과 함께하는 저자는~ 저희 친정 아버지를 떠올리게 했습니다.
어릴적 저희 친정 아버지도 ~ 이 책속에 나오는 문구들을 저희에게 들려주고 따라 말하고 뜻에 대해서 이야기를 주고
받았답니다.
하지만 스스로 배우려는 의지가 없는 자녀는 좋은 문구 하나하나를 가슴에 새기지 못하고 흘려보냈답니다.
다시 이 책속에서 만난 문구들은 아련한 추억과 함께 어리석은 사람의 모습의 길을 따라가는 저를 사실적으로
보여주었답니다. 이 책을 통해서 저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답니다.
또한 과거에 선현들 역시 자식 키우는 일은 무척이나 어려운 일이였구나~ 하는 동질감도 생기고, 함께 자식의 성장을
위해서 많은 생각과 노력을 하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답니다.
자녀교육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가, 자녀에게 ‘잃어버린 가치’를 돌려 주다, 부모가 먼저 알고 가슴에 새기는
‘배움의 의미’, 동양고전에서 발견한 ‘공부의 왕도’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부모의 은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자녀의 은혜도 있습니다. 자녀가 7세까지 베풀어 준 은혜에 감사해야하며 살아가야
하는 존재가 바로 ‘부모’입니다. 자녀가 준 은혜를 기억하면서 살아가야 겠더라구요.
존재만으로 기쁨에 넘쳤던 아이들의 모습을요.
또한 자녀의 미래를 예단해서는 안
된다.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자녀의 행동 때문에 자녀의 미래를 염려하는 부모가 있다면, 꼭 새겨들었으면 하는 구절이
있습니다.
태공왈 범인불가역상
해수불가두량
태공이 말했다.
“무릇 사람을 미리 점칠 수 없다. 바닷물을 말로 그 양을
잴 수 없듯이 말이다.” -『명심보감』성심 상 -
한구절 한구절 아이 옆에서 부모가 먼저 읽고 함께 이야기를 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동양고전에서 배우는 큰
배움을요.
요즘 사람들에게 필요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어요.
>>> 한우리 서평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