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히스토리 1 :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 우주의 탄생, 우주.생명.인류 문명, 그 모든 것의 역사 빅 히스토리 Big History 1
이명현 지음, 정원교 그림 / 와이스쿨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BIG HISTORY 1

 

우주의 탄생  빅히스토리

 

우주·생명 ·인류문명, 그 모든 것의 역사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대한민국 융합인재교육의 가장 구체적 솔루션이 시작 된다.

청소년을 위한 책이랍니다. 이제 우리는 어떻게 공부할 것인지,

그리고 우리가 느끼는 궁금증과 질문에 대해서 어떻게 풀어갈 지

다양한 관점에서 풀어보는 방법을 배우게 될것입니다.

 

 

일단 빅히스토리란 무엇인가 ?

 

질문으로 시작하는 이책은 실제로 우리는 수많은 분야의 온갖 지식을 분류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빅히스토리를 통해 우리가 대답해보자 하는 빅퀘스턴을 찾아냈습니다.

빅히스토리는 모든 것의 역사입니다. 하지만 모든 것을 다 다루진 않습니다.

빅히스토리에서는 모든 것이 시작된 137억 년 전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진 타임라인 위에 열 개의

대전환점이 찍혀 있습니다.

그 열 개의 대전환점은 우주와 지구, 생명과 인류, 그리고 문명의 탄생에 과한 흠미진진한

질문들을 던집니다.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가다 보면 우리는 세상에서 가장 큰 이야기와

조우하게 됩니다. 빅히스토리는 빅스토리 입니다.

 

 

따라서 빅히스토리는 단지 역사학을 지칭하는 것일 수 없으며 역사학의 한 분야를 뜻하는 것일 수도 없습니다.

그것은 인류의 지적 자산을 총동원하여 우리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대비하고자 하는 융합적 사고의 대표적인 결과물입니다.

 

 

  

우리는 늘 궁금합니다. 세상이 어떻게 시작 되었는지?

최초의 세상은 누가 만들었는지 어릴 적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질문을 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봅니다.

이책을 읽으면서 수 많은 이야기들이 연결 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책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가 보는 현상과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할지~태도의 변화를 추구 한다고 합니다.

 

 

우주의 탄생에서 부터 살펴보면~~

밤하늘은 왜 어두울까? 우주는 정말 불변하는 것일까?

팽창우주의 발견, 우주의 시작을 찾아서, 빅뱅! 우주의 대폭발의 순간,

우주의 운명으로 구분 되어 있어요.

 

아이들에게 어려운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 글로 왜?

다양한 질문을 통해서 해답을 찾아가는 방식이랍니다.

우리는 아이들의 질문을 귀찮아합니다. 하지만 모든 인류의 발전은

호기심과 궁금증에 창의적 사고와

그 안에서 발견하고자 하는 의지~~태도가 있겠지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다양한 학자들은 끝임없이 자신들의 궁금증을 확인 해줄 다양한 증거를 찾아

연구하고 그 의견을 정리하면서 대립 할때도 있고, 그들의 의견을 지지해주기도 하고,

 자신의 의견이 잘 못 되었음을

밝힐 때도 있습니다. 자신의 학설이 받아드려지지 않을때도 있었고,

그들은 계속해서 자신의 의문점을 풀기 위해서 연구합니다.

 

 

 

200년전에 살던 천문학자는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와는 다른 우주 패러다임을 받아드리고 있었습니다.

우주는 시작도 없고 끝도 없으며 변화도 없는 영원한 공간이라고 믿었지요.

지금 생각하면 우습고 어리석어 보이지만 과학은

그런 결과와 역사들이 모여서 새로운 이론과 정확한 사실에 가까이 갑니다. 

하지만  과학은 늘 증명된 사실을 바탕으로 세상을 설명해 왔습니다.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별 의심 없이 '빅뱅우주론'을 받아들입니다.

이 우주론은 지금 이 순간에도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관측 사실을 바탕으로 한것입니다.

새로운 진리를 얻으면 낡은 가치관은 버려야 합니다.

과학은 그렇게 발전해 왔습니다.

 

 

우주의 나이를 바꾼 허블상수 전쟁

허블상수 지수가 정확해야만 우주의 실체가 더 정확하게 파악 될 수 있습니다.

 

 

 

" 밤하늘은 왜 깜깜할까?"

 

올베르스의 역설에 대해서 말합니다.

우리는 이미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알고 있기 때문에 측정된 연주시차 값을 통해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주시타은 별이 지구에서 멀리 떨어졌을수록 작아지고 가까울수록 커져;

거리에 반비례합니다.

천체까지이 거리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거리 단위로 나타내기에는

그 측정값이 너무 커서 특별한 천문학적 단위를 쓴다고 하네요.

 

 

 

밤하늘의 보세요.

  

마침내 찾아낸 우주의 나이

 

허블상수를 정밀하게 관측했다 하더라도 이로부터 우주의 나이를 정확히 추정해내려면 좀 더

세밀한 작업이 필요하다.

허블상수는 현재 시점에서 우주가 얼마나 빨리 팽창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고무자를 이용한 설명은 어려운 내용을 더 알기 쉽게 이해 할 수 있었다.

하지만 213년에 나온 플랑크 위성의 1차 발표 결과는

우주 나이가 138억 년 이라고 말한다.

우주의 나이가 137억 년이냐, 138억 년이냐를 놓고 새로운 우주의 나이 논쟁이

시작되고 있다.

 

 

우주가 얼마나 큰 것일까?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말해 우주가 점점 커진다는 이야기이다.

우주는 지금도 계속 팽창하고 있다.

 

우리는 한 줄기 빛을 관측함으로써 우주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우주 공간에는 '거리가 곧 시간'인 등식이 성립한다.

 

 

 

빅히스토리, 그 원대한 시작

 

누구나 한번쯤 하늘에 떠있는 별을 보고 다양한 호기심이 생겼을 것입니다.

우리들은 저 별과 우주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우리는 어디에서 왔을까?

  

우주의 역사를 통째로 생각하는 우리의 멋진 아이들로 키우고 싶다.

우리의 인류의 총 지적 자원을 모아서 우리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먼 미래를 대비하는 융합적 사고를 키우는 책읽기가 될 것 같습니다.

어렵게만 느꼈던 우주의 탄생을 한권으로 재미있고 다양한 학자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과거부터 출발하여

현재 그리고 미래를 보는 안목을 갖게 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