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섯째 아이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처음부터 너무 관심이 컸던 작품이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이라는 것과 다섯째 아이라는 제목에 끌렸던 것이 사실이다.
결론에 도달해서야 알 것 같다.
진정한 가족의 의미가 무엇인지. 또한 인간의 무한한 욕심인 나은 결과인가, 아니면
책임지려는 최소한의 노력인가 말이다.
같은 여자의 입장에서 내가 주인공이라면 어떻게 그 상황을 헤쳐나갔을지 솔직히 장담할 수 없다.
감정이입을 해보았지만, 내가 실제 그녀의 상황에 놓이지 않고서야 어떻게 대처했을 것이라고
누가 감히 말할 수 있단 말인가!!
또 하나, 삶에서 돈은 인간이 살아가기 위한 필수사항이라고 단정지을 수 있다.
돈으로 해결되지 않는 것이 물론 있지만, 돈이 기본이 되지 않는한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공감할 것이다.
그녀의 가족들또한 그러했다.
다섯째 아이까지 낳기까지 그들에게는 그들의 든든한 부모님이 계셨고, 그들이 또한 손자들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면 다섯째 아이까지 있을 수도 없었을 것이다.
물론 그러한 관심이, 가족이라는 이름하에 즐겁게 모일 수 있는 계기가 되고, 멋진 화합의 장이
되었지만, 서글프게도 가족을 파괴하고야 마는 상황에 이르렀던 것이다.
다섯째 아이가 불행의 씨앗이 되었다기 보다, 다섯째 아이까지 낳기만 한 그들 부부의
잘못된 판단이 가족 파괴를 낳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처음부터 끝까지 흥미롭고, 긴장감 넘치는 문체로 오랜만에 민음사의 작품을 읽어 내려갔다.
중간중간의 띄어쓰기와 의미가 바뀌게 쓰인 부분만 뺀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