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지종례 - 맛있는 학교생활을 위한 다정한 레시피
이경준 지음 / 푸른향기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막 중학교에 입학한 첫째.

초등학교때는 담임선생님께서 전적으로

하루종일 아이들과

함께 하시면서 아이들을 서로 알아간다면 ,

중학교,고등학교는 담임선생님과 종례시간에

만나게 되면서 그 관계가 초등학교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이 책 [쪽지종례]를 보는 순간

어떻게 아이들과 관계를 이끌어 가는지 궁금했었고,

쪽지의 어떤 내용들로

아이들과 소통을 하는지 알고 있었고,

중학교 고등학교 아이들의 1년의 모습도

찾아 볼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으로

꼭 읽어 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지요.

 

중학교 3학년 아이들과 지낸 1년 ,

그리고 고등학교 1학년 아이들과 지낸 1년이 담겨진 쪽지종례.

아이들이 이렇게 하면서 노는 구나 ..

읽으면서 '풉' 하고 웃었던 부분이에요.

(슬리퍼를 탁구채처럼 쓰는 사람들이 있더라.)

그 말 뒤에는 혹여나 장염에 걸리까

걱정하는 마음을 담고 있었어요.

쪽지종례 속 이야기들을 보면

선생님의 일방적인 통행이 아닌

아이들의 일상을 담으면서 그 일상에서

염려하고 고민하고 아이들을

지켜주려는 마음을 엿볼 수 있어서

아이를 학교에 보내는 엄마로서

선생님이 아이들을 지켜주는 구나 하며

안심하고 고마워 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어요.

호기심도 많을 나이

그런데 공부해야 하는 나이.

공부로 아이들을 평가하게 되는 현실.

공부에 대한 주제로 몇가지가 있었어요.

그 중에 저는 이부분.

(교양인-내가 아는 교양인은 잘 들어주는 사람이야.)

잘 배우는 것은 잘 듣는 것이라는

말을 들어 본적이 있었어요.

엄마로서 아이들을 키우며 아이들의 마음.

말을 들어준다는것.

해결을 해 준다는 것이 아니라 .

들어 준다는 것만으로도

참 큰 사랑의 표현이 되는 것 같아요.

다시 한번 곱씹으면서 [들어주기] 를 해 보려구요.

중학교 1학년인 아이들은 자유학년제라서

시험이 없지만.

지금 기말고사 기간인 학교 선배들.

그래서 일까요.

[사과문] 이라는 이 부분을 읽으면서

7월인 지금

아이도 선생님도 시험.성적 .꿈 .고등학교

참 많이 복잡하겠다 싶었어요.

엄마도 아이에게 이렇게 사과문을

써야 하지 않을 까 싶어요.

기대하지는 않지만

기대가 되고

안되는 것을 알지만 할 수 있기를 바라고

어렵다는 것을 알지만

알아야 하는 것이 공부라고 생각하는

엄마의 마음

에서

꿈이 정해지지 않아도 앞을 향해 나가고

어떠한 어려움 앞에서도 무너지지 않는

마음을 갖기를 바라는 것으로 .

 

3월 4일

담임 자기 소개서

이러한 담임선생님을 만나게 해 주세요.

라고 할 수가 없기에

더 멋지게 보여진 [담임 자기 소개서]

내 아이에게도 보여주고 해보았으면 하는 부분.

1.꾸준한 독서와 기록

2.자신과 주변을 돌아보는 여유

3.타인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견주기

어쩌면 훈련처럼 이어질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과정속에

큰 틀인거 같아요.

스스로 생각하고 , 결정하고 , 행동하는

행복한 사람으로 자라는 것.

쪽지종례를 통해서 엄마도 아이의 교육의 방향.

아이에게 바라는 마음이 조금은 달라졌어요.

중학교 고등학교에서는 무조건 공부만을 강조하고

달려가야 한다고 생각했던 마음.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

한번뿐인 삶 .행복한 사람으로 자라게 하는 것 !!

[낱말의 온도]

아 !! 그렇지 .

후텁지근. 선선하다.쌀쌀하다.

진짜 낱말에 온도가 느껴지네요.

내 입으로 사람들에게 전해지는 말.

그 말의 온도가 따뜻하고

때로는 시원 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잠시 가져보면서 .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고

아이들의 1년이 궁금하다면.

아이들에게 무엇이 중요한지를 알려 주고 싶다면 .

교양인이 되고프다면

쪽지종례 추천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