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된 역사 - 잃어버린 나라 고조선
조승완 지음 / 어드북스(한솜)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국사교과서 성향을 문제 삼아서 모출판사의 국사교과서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면서 보수와 진보간의 편향성싸움이 있었다. 결국 현 정부의 편향이 점철되는 것으로 마무리가 되었지만, 우리는 아직도 국가 안에서도 자국의 역사를 가지고 편향성을 논하며 편 가르기를 하고 있다. 세계에서 유래 없이 역사를 둘러싼 총칼없는 전쟁을 하는 나라가 있다면, 바로 중국과 일본 그리고 대한민국 3국이다. 자국역사의 편향성에서조차 제대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국가간의 배타적인 소용돌이속에 서 있는 우리나라의 정부와 국민들은 과연 얼마나 우리역사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고 다른 나라에게 짓밟혀 왜곡당한 역사를 바로잡고자 생각할 수 있겠는가? 어려서부터 입버릇처럼 학교의 교가와 음악시간에 부르는 가사가 있다. “우리는 단군의 자손이다.”그렇다면 우리는 지금의 대한민국의 뿌리라 믿고 있는 고조선을 세운 단군과 고조선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그야말로 피상적인 지식의 일부처럼 단군과 고조선에 대해서 머릿속에 담고 있을거라 생각한다. 나또한 과거 학창시절에 배웠던 역사는 그저 연대순에 준한 사실의 나열을 얼마만큼 아느냐에 중점을 두고 가르치고 배웠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역사에 어떠한 왜곡을 가 한다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동북공정의 예와 일본의 역사왜곡의 현주소를 바라보니 역사도 입맛에 맞춰서 해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만주땅이 옛 우리조상의 땅이 될 수도, 일본의 땅이 될 수도, 중국의 땅이 될 수도 있는 것 이었다. 그리고 적어도 자국민과 학생들에게 그런 역사를 교육시킨다면 역사는 그렇게 굳어질 수 밖에 없다.

 책<잃어버린 나라 고조선 왜곡된 역사>에서는 식민사관에 의해서 역사가 아닌 마치 신화적인 존재로 전락한 고조선에 대한 고찰과 이후에 이어진 왜곡된 역사적인 사실들을 현재 우리가 가르치며 배우고 있는 역사의 통설들과 비교해 가면서 바로 잡고자 하는 노력이 담겨 있다. 하지만, 우리의 역사을 찾아가는 방법에 우리의 조상들이 직접 써서 남긴 자료를 바탕을 한 고증이 아닌 중국의 <사기> <상서> <요서>등에 나타난 내용을 바탕으로 증명하고 있어 그 진위와 더불어 다른 학자들로 하여금 선 듯 동조를 얻어내지 못함은 몹시 안타깝게 느껴 진다. 필자가 왜곡되었다 주장하는 우리의 상고사는 크게 이렇다.
漢 낙랑군은 평양지역이 아닌 요동지역이다 라는 것이다. 이것은 후에 고구려 장수왕이 천도한 수도 평양이 요동지역이라는 것과도 연결되는 등 크고 작은 역사의 흐름속의 대전제가 된다. 이런 대전제의 시작은 결국 과거 우리가 알고 있는 고조선의 분명한 대제국으로서의 존재감과 더불어 그 지배영토의 범위가 요서지역에까지 이르게 한다. 책에서는 여러 학자들이 반박하며 내놓은 현재의 역사를 증명하는 사료들에 대한 오류 가능성 또한 분석적으로 다루고 있다. 더불어 발견된 유물들의 증명들은 이러한 역사에 가해진 왜곡의 가능성을 더욱 농후하게 보여 준다. 
 

 역사에 대한 판단 역시 여러 의견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우리의 손안에서 우리의 역사를 재해석하고 재발견하는 즐거움으로 삼아야지. 마치 자기나라의 역사인냥 맘대로 그럴듯하게 주물러서 만든 흐려진 역사적 사실에는 분명 비난과 더불어 바로잡아야 함이 지금 우리의 역할이며, 그럼으로 후대에게 부끄럽지 않은 역사를 남겨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역사는 스스로 증명하지는 않는다. 적어도, 자국의 자민족의 역사적인 우월성을 위해서 마구 역사를 훼손시키며, 왜곡시키는 현 인접국간의 치열한 상황에서 우리의 역사는 우리 스스로가 증명하며 지켜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나를 단군의 자손으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한사람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자긍심은 수 천년을 거슬러 내려왔다 해도 크게 몸속에서 요동쳤다. 왜곡된 역사의 틈바구니속에서 우리는 단군으로 시작하여 대륙을 호령한 고조선과 고구려, 발해에 이르는 거룩한 조상들의 힘찬 기상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그래야 우리의 진정한 역사를 되찾고 앞으로도 만들어 갈 수 있을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