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해록 : 조선 선비가 본 드넓은 아시아 샘깊은 오늘고전 10
방현희 지음, 김태헌 그림 / 알마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해록을 다 읽고 나서 정말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던 것이
표해록은 세계명작가운데 손꼽힐만한 작품인 것 같은데 왜 쉽게 읽어볼 수 없었을까
이러한 책이 있는 것조차 왜이리 알기 어려웠을까 라는 생각입니다

어릴 때 읽었던 15소년표류기, 로빈슨표류기, 걸리버 여행기 등이 생각납니다.
말할 것도 없이 다 외국작품입니다 그런데 그냥 만들어진 이야기이죠.

제가 읽은 실제경험담으로 중국여행기는 마르코 폴로 책이 유일합니다.
일본사람이 쓴 책이 있긴 하지만 읽어보지는 못했습니다.
그런데 한국 사람이 쓴 책이 세계3대 중국여행기로 꼽는다니요
저는 이 책을 왜 지금에야 접하게 되었을 까라는 안타까움이 참으로 큽니다.

표해록을 초등 학교 때 읽었더라면 이라는 생각을 간절히 합니다.
우리나라의 자부심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합니까?
총득학생 필독도서중에 하나로 강력 추천합니다.

책에 내용을 정리하자면 
주인공 최부는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제주도에서 전라도 나주 땅으로 날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배를 띄우다가 그만 바닷길을 헤매고 맙니다. 여러 날을 고생하다가 중국에 다다르게 되지만
예나 지금이나 남에 것을 도적질해서 먹고 사는 사람들 덕에 고생을 몹시 합니다.

아마 해적들한테 피해만 안 입었어도 더 빨리 한양으로 돌아왔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뭍에 올라와서도 썩어빠진 관리들 덕에 죽을 고생을 하면서 탈출에 성공합니다.

중국을 다니며 가장 많이 받은 오해는 일본사람이냐는 것입니다
그땐 일본사람들에 침략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일본사람들 참 대단한 영토확장정신이예요 아마 이때쯤부터 일본은 세계로 세계로 뻗어나갈 준비를
한 것 같아요 대한민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이 침략을 당했죠!

아무튼 여러 날을 고생하고 고생한 후에 결국 중국황제에게 상까지 받고 제주를 떠난 지
135일 만에 조선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무엇보다 바다에서 표류했던 이야기는 정말사람의 애간장을 태웁니다.
이러다가 죽는거아닌가라는 죽음의 공포와 더불어 죽음이라는 공포 때문에
상전이고 뭐고 위아래가 없어진 그 상황이 참 그랬습니다.

주인공 최부에 선비다운 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끝까지 버텨낼 수 있었고 모두 살아서
조선 땅을 밟지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어떤표류기와 견주어봐도 결코 내용이나 재미 면에서 떨어지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에 살아있는 역사입니다 자랑스러워할만합니다

너무너무 잘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