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후지쯔 성과주의 리포트
조 시게유키 지음, 윤정원 옮김 / 들녘 / 2005년 10월
평점 :
후지쯔 비즈니스 솔류션 기업이 벌인 성과주의 난장.
외형적으로는 미국식 선진기법이라고 하나 결국엔
연차가 오래된 인물들의 인건비 감축 방안의 하나.
문화적· 역사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방적 성과주의 수용은 개별화, 단기집착, 생산파트가 아닌 특정 세력의 혜택, 기업의 위기를 무능력한 직원의 문제로 오도. 애사심의 상실과 이직. 후지쯔의 몰락 가중.
시게유키는 그 대안으로 중간층 관리자의 감축, 객관적 평가 방안 마련. 계획 대비 실적 평가가 아니라 업무과정에 대한 평가를 주문하고 있다.
걸핏하면 퇴출이 일상화된 배경에는
`나이 많다고 하는 일없이 놀고 먹는다`는 불만이 있고, 이 모든 것은 낡은 연공서열제도가 문제다라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연공서열 제도는 동양에서 수천년간 유지된 조직운영의 원리이다.
요즘엔 미국쪽에서도 협업과 조정, 기업내외의 사회적 운영에 대한 성찰 때문인지 연공서열 제도로의 회귀가 심심치 않게 주장되고 있다.
젊은 직원과 실무적 기능이 같을 수 없다는 전제,
사회적 경험과 조직운영관리의 경험은 실무적 역량과 별도로 그 만한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최근 공사와 공무원에게도 성과 평가와 퇴출제를 강제 도입하겠다는 정부의 태도는 억압적·관료적이다.
성과주의는 개방과 자유를 전제로 한다, 그래야 계획이 있고 평가가 있을 수 있다.
관료주의등 억압적 체계에서 계획도 평가도 결국엔 윗 사람의 마음이다.
관료주의가 성과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는 당연한 말을 떠올리면, (삼성 출신 관료를 앞세워) 정부가 내세우는 성과주의란 무조건 복종지수로 귀결될 수 밖에 없지 않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