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인간인가? - 인류가 밝혀낸 인간에 대한 모든 착각과 진실
마이클 S. 가자니가 지음, 박인균 옮김, 정재승 감수 / 추수밭(청림출판)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과학이 밝혀낸 인간의 모든 것

-동물과 다른 뇌가 만들어 지기 까지, 뇌에서 비롯되는 동물과 다른 인간 사회의 양



자기중심적인 인식은, 사람은 자신의 정신적 자원을 활용하여 타인의 행동과 정신상태를 이해하고 예측한다는 모방이론을 잘 설명한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다른 사람과 분리할 줄 알아야 한다.

여러관점을 오가며 판단하기 위해서는 정신적 유연성이 필요하다.

자신의 관점을 조절(억제)해야 다른 사람의 관점을 받아들일 유연성이 생긴다.

다른 사람의 관점을 평가할때 오류가 생기는 이유는 자기 자신의 관점을 억제하지 못해서 이고, 이런 이유로 남편은 아내에게 보석대신 공구를, 아내는 남편에게 전자기기가 아니라 우아한 와이셔츠를 사준다.

'관계의 시작, 모방과 감정이입'에서 인용(p.252)

p.214
태어난지 42분에서 72시간이 된 신생아는 얼굴 표정을 정확하게 모방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혀를 내밀고 있는 얼굴이 보이면 뇌는 웬일인지 자기에게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얼굴과 혀가 있다는 것을 알고, 그 동작을 모방하기로 결정하고, 긴 신체부위 목록에서 혀를 찾아내 한부 번 시험 가동한 후 혀를 내밀라고 명령한다.
...
아기의 모방 행동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이다. 아기들은 사물의 움직임이 아닌 사람의 움직임을 모방한다. 자신이 다른 사람과 같다는 것을 이해한다는 얘기다.

p.254
특정 부위는 자신의 행동과 다른 사람의 행동을 구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뇌의 오른쪽 각회에서 발작의 원인이 되는 곳을 자극하자 환자는 유체 이탈을 반복적으로 경험했다. "제가 침대에 누워 있는게 보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